내가 누군지도 모른 채 마흔이 되었다 - 인생의 중간항로에서 만나는 융 심리학
제임스 홀리스 지음, 김현철 옮김 / 더퀘스트 / 201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십충기라 부르며 집과 직장 밖에 모르던 가장이 하루아침에 이 모든 것을 팽개치고 사라졌다.
과연 무슨 일이 있었기에 이 남자는 그동안의 삶을 부정했을까?

지금까지의 내 삶에서 역할을 빼고 나면, 나는 대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부딪친 마흔의 남자.
마흔이 되어 우리를 가장 좀먹는 경험 중 하나는 삶이 덧없다는 것과 뻔한 일상이 반복되고 사는 게 재미없다는 느낌이다. 중년에 이르러 삶을 돌아보면, 길게는 몇십 년 전에 선택한 결혼과 직업에서의 경력 등이 사실은 얼마나 무의식적이었는지 깨닫고 전율하게 된다. 누군가의 배우자, 부모, 가장 같은 제도화된 역할에 길들여져왔기 때문에 우리는 자신의 정체성을 이들 역할에 
투사해왔다. 투사를 포기한 개인은 그것을 대신할 무언가를 찾아야 한다는 압박감에 시달린다.
우리는 외부 세계와 어울리기 위해 페르소나를 사용하는데 이 페르소나를 내면의 나로 착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는 나를 보호하기 위한 가면일 뿐 진정한 나는 아니다. 

거짓된 자아 속에서 비현실적인 기대를 하며 잠정적인 성인기를 보내왔을 뿐이라고 깨닫는 순간, 우리는 자신의 진짜 존재를 만날 수 있는 2차 성인기에 들어설 수 있다. 이 과정은 고통스럽지만 '자기감'을 바꿀 수 있는 멋진 기회를 선사한다. 과거의 나를 미래의 나로 교체해야 하며, 과거의 나는 숨통이 끊어져야 한다. 그러니 엄청나게 불안해지는 것도 당연하다.
이는 잠정 인격에서 진정한 성인기로, 거짓된 자기에서 올바른 자기로 옮겨가기 위해 내면으로부터 일어나는 소환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자아 정체성을 제대로 만들지 못한 채 인생 후반기로 접어든 개인은 성숙해지기 어렵다.
인생 후반기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전반기에 투쟁을 통해 얻은 힘이 필요하다. 
삶의 전반기에서 개인의 과제는 부모를 떠나 세상으로 들어설 수 있도록 자아의 힘을 키우는 것이었다. 
이 힘은 삶의 후반부에서 더 큰 영혼의 여행을 떠날 때 사용할 수 있다. 
마흔에 들어서면, 결국은 자신의 내면아이가 무엇을 원하고 필요로 하는지 질문해야만 한다.
내가 원하는 건 무엇인지?, 내 기분은 지금 어떻지? 기분이 좋아지려면 나 자신에게 어떻게 해야 할까? 와 같은 
자기 내면과의 대화를 시도해야 한다. 해답은 모두 우리 안에서 나온다.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스스로의 열정을 좇으십시오.
마흔, 우리는 스스로의 열정을 발견할 것을 요구받는다.
인생을 항해하는 배의 조타를 잡을 수 있는 건 우리 자신뿐이다.
의식적으로 내면의 목소리가 지닌 힘을 따르는 사람만이 인격을 완성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