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인생을 말하다 - 평범한 삶을 비범하게 바꾸는 한자(漢子)의 힘
장석만 지음 / 책들의정원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30, 40대 교육과정을 학습한 세대에게 한자는 생경한 그림 문자입니다.
그 이유는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다 보니 한자보다는 한글을 더 우선하였기 때문이고,
또 한자는 획이 많고 모두 외워 적어야 하는  부담으로 시험의 괴로움을 더하는 과목이었지요.
하지만 한글이 한자를 차용해 만든 글자이다 보니, 한자를 모두 빼버리면 의사소통이 불가능 해집니다. 
한자는 우리 말과 언어의 근간으로 표의 문자입니다.
한자 하나하나에 글이 생겨나게 된 기원과 글의 힘을 고스란히 글에 담아 놓은 것이지요.
그 힘과 기원을 고스란히 풀어 놓은 책, "한자, 인생을 말하다"입니다.

한자가 중국의 글이다 보니 중국의 고사성어가 많이 등장합니다.
그들이 역사 속에서 어떠한 발자취를 남겨왔는지를 되짚어 보고, 그들의 실패와 성공담을 이야기합니다.

백락일고(伯樂一顧)

소금장수의 늙은 말이 한 발자국도 움직이지 않자 의아해하는데, 길을 가던 백락이 그 말에 집중해 보더니, 다가가 한참을 어루만지며 통곡하며 옷을 벗어 주고 자기 길을 갔다. 그러자 늙은 말이 소리 높여 울부짖었다. 원래 이 말은 하루에 천리를 간다는 천리마였지만 알아주는 이 없이 매일 같이 소금만 운반하다 늙었던 것이다. 천리마를 알아본 백락의 일화이다.
그 일이 세상에 알려진 후에, 말장수가 백락을 찾아와 잘 팔리지 않는 말을 가져와 감정을 의뢰한다.
백락이 아무 말 없이 점검하며 감탄하자, 그 말에 관심 없던 사람들이 준마(駿馬)라 생각하고 높은 값에 사갔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인재를 알아보는 안목이 중요하다는 내용 중에서 발췌한 것이다.
이렇게 이해를 돕기 위해 고사성어와 현대 경영학의 석학의 말을 섞어 재미와 지식을 더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한자, 인생을 말하다'보다는 '한자, 전력을 말하다'가 더 책 제목으로 어울릴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