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는 부동산의 법칙 - 문재인 트럼프 시대, 폭등하는 부동산
조현철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건을 사기 위해 시장에 가면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 간에 가격을 가지고 

실랑이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싼 가격에 사려는 구매자와 절대 그 가격에는 팔 수 없다는 판매자.
과연 누가 승자일까요?
이렇게 판매자와 구매자가 만나 가격을 결정하게 되는 곳을 '시장'이라고 합니다.
흔히들 부동산 시장이 호황이네, 불황이네 하는 뉴스를 한 번이라도 들어본 사람이라면,
부동산도 물건처럼 사고 파는 사람이 만나 가격을 결정한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저 또한 이렇게 생각했고요.

이 책은 부동산에 관련된 책인데, 
"문재인 · 트럼프 시대 폭등하는 부동산
"이라는 다소 엉뚱한 부제목이 달려있습니다.
왜 저자는 이런 부제목을 달았을까요?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3요소는 "의, 식, 주"이다.
 세 가지 중에 가장 돈이 많이 들어가고 민감한 것이 바로 집이다.
젊은 사람들은 허리띠를 졸라가며 저축을 해도 강남에 집 한 채 사는 것은 꿈에 가깝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강남에 집이 몇 채라고 한다면 사회 불균형으로

사회에 대한 불만이 쌓여갈 것이다. 이런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나서서 투자 제한이나 대출 억재 등 강력한 방법으로 부동산에 제재를 가한다.
이렇게 정부가 나서서 공급을 억제한다면, 시장에 넘쳐나는 돈이 어디로 흘러갈까?
주택에 대한 억제로 인해 상가, 다세대, 꼬마빌딩 등 주택이 아닌

수익형 부동산으로 돈이 이동하며 거시적인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
한마디로 부동산은 지금이 매수 타이밍이다.


그럼, 어디에 투자를 해야 할까?
부동산에서 가장 중요한 3가지는 "입지, 입지, 그리고 또 입지"이다.

요즘 핫이슈로 강남 다주택자들이나 중대형 소유자를 겨냥한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 강화 그리고 재건축 규제로 

강남의 아파트 가격이 떨어졌다는 것이다. 

그런데 역으로 지금이야말로 무리를 해서라도 이 물건들을 잡아야 할 때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래도 일반인들이 꿈도 못 꿀 가격이라 살짝, 이건 뭐지? 하는 반감이 든다. 
이 지역에 투자하지 못 한다면 상가와 꼬마빌딩 등 수익형 부동산에 투자를 권한다.

그럼 언제쯤 매도 타이밍일까?
수익을 실현하려면 언제 파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중고차 CF처럼 "니  팔 때가 가장 쌀 때, 니가  살 때가 가장 비쌀 때"일 수도 있다.
2018년 이후 대세 상승장에서 한동안 소외될 수도권 외곽의 중대형 아파트까지
오른다면, 이 시점이 주택 가격의 정점일 확률이 매우 높다. 

이쯤에서 매도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 책은 콕 집어 여기라는 것보다 시장을 보는 눈을 뜨게 해 준다.
그동안 몰랐던 정치와 시장의 원리, 그리고 매수 매도의 타이밍 포착 등

많은 것을 배우고 느낀 책이다. 부동산 투자를 준비한다면 필독서로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