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詩누이
싱고 지음 / 창비 / 2017년 6월
평점 :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윤동주 시인의 '서시' 한 구절을 외고 있지 않을까?
국어 교과서에 실린 김소월, 윤동주, 한용운, 박목월, 박두진 시인의 시를 읽으며 한창 꿈을 키우던 시절. 모처럼 선생님이 시간을 내어주어 저마다의 시를 하나씩 작시하고 낭독하던 그때 그 시절. 국어시간에 관심이 없던 아웃사이더 친구가 작시한 시가 의외로 멋져, 우와~ 감탄사를 터뜨리게 했죠. 누구나 시인의 꿈을 한 번씩 꾸어보지 않았을까요?
그런데 어른이 된 우리는 '시'하면 먼저 '어렵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시가 너무 쉽게 씌고 읽힌다면 시인들의 밥벌이에 문제가 생기겠죠?
그래서 알듯 모를 듯, 여기에 추상을 가미하다 보니 시인들의 밥벌이는 지켰지만 독자는 잃어버렸습니다.
떠나간 독자들을 다시 불러 모으기 위한 시도로 시와 만화가 만났습니다.
처음에는 이게 뭐지? 생경함에 시에 집중이 안되다가, 생활 속 에피소드와 소녀 감성의 글에 푹 빠져 버립니다.
거기에 이응옹의 감칠맛 나는 애드리브에 빵 터진 웃음을 주체하지 못합니다.
만화의 여운을 머금고 시를 다시 읽습니다.
시와 연관된 만화라 시의 추상적인 언어들을 이해하기가 더 쉽습니다.
여러 작가의 시와 우리 생활 속 에피소드의 만남을 통해 시와 더 친숙하게 만나는 시간이었습니다.
만화로 만나는 시를 통해 초등학교 여학생부터 40대의 직장인까지 독서를 통한 힐링을 맛볼 수 있는 소중한 책입니다.
봄 가뭄처럼 황량한 마음속에 시와 만화로 촉촉이 적셔주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