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존감 심리학 - 있는 그대로 살아도 괜찮아
토니 험프리스 지음, 이한기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심리학의 주류는 내면아이 치료와 자존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부모와 형제자매를 비롯하여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자라갑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본연의 모습을 감춘 채 주위 환경에 맞게 살아간다고 이야기합니다.
자신을 지키기 위해 보호색을 한 거짓 자아 속에 진정한 나는 누구일까요?
과연 진정한 자아가 있기는 할까요?


갓난아기는 엄마라는 존재가 없다면 이 세상을 살아갈 수 없기에 엄마와 자신을 동일시합니다.
그렇다면 갓 태어난 아기는 자존감이란 것이 없다고 하는 게 맞을 것입니다.
자신과 다른 사람을 구분할 나이가 되면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자라기 때문에 거절과 실패를 경험하게 됩니다.
이런 역경 속에서 자신을 지키기 위해 외부 환경에 맞게 다양한 가면을 마련하게 됩니다.
이렇게 왜곡된 페르소나 속에 진정한 자아를 찾으라고 심리학자들이 조언합니다.

하지만 인간의 생애 주기를 살펴본다면 과연 자존감이란 게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듭니다.
제 생각에는 주위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페르소나 역시 본래의 자아가 아닐까 싶습니다. 
본래 자아를 찾겠다는 어렵고 힘든 수련의 길을 가느니, 차라리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는 건 어떨까요?
어렵고 힘든 상황 속에서 좌절보다는 절대 긍정으로 자신을 세워주며, 세상에 하나뿐인 나를 조금 더 사랑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이 세상에서 '나' 자신 말고는 누구도 나를 소중히 생각해 주지 않습니다.

오늘 하루도 수고한 나 자신에게
"오늘 하루도 수고했어, 내일도 함께 해 줄게, 조금만 힘내자!" 응원해 주며,
내가 어떤 것을 했을 때 가장 행복한지를 알아가는 삶, 이게 진정한 자아로 사는 것이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