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분석대로 미래는 이루어진다 - 국내 유일 트럼프 당선을 정확히 예측한 우종필 교수의 구글 빅데이터 기법 공개!
우종필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갑작스러운 대통령 선거를 앞에 두고 여론의 향방을 확인하기 위해 SBS 뉴스에 등장한 "SBS 빅-지수"
SBS 빅-지수는 대선 주자별로 포털 검색량과 SNS 호감도, 뉴스 주목도를 종합해, 
여론조사가 놓칠 수 있는 숨은 표심까지 반영하는 지수입니다. 
여론조사와 무엇이 다르기에 뉴스에서 특집으로 다루고 있을까요?

그 이유는 2016년 미국 대선 결과 예측 때문입니다.
TV 여론 조사와 출구 조사 모두 힐러리 클린턴이 대통령 당선이 확실시된다고 예측하였습니다.
국내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힐러리 당선에 맞추어 힐러리의 일생을 조명하는 책과 다큐멘터리가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투표 결과는 우리의 예상과 달리 도널드 트럼프가 백악관에 입성하였습니다.
이런 여론조사와 달리 구글 트렌드 분석만이 유일하게 트럼프 당선을 예측했답니다.

구글 트렌드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로서, 특정 검색어에 대한 검색량을 그래프로 제공하는데, 
개별 국가뿐만 아니라 국가의 특정 지역이나 도시에서의 검색량까지 제공한다.
이런 빅데이터 분석이 선거 결과뿐 아니라 미래를 예측하여 주가나 매출액도 예측할 수 있다고 합니다.

우리 모두는 불확실한 시대에 살면서, 삶의 매 순간 의사결정을 강요받게 된다.
결정에 필요한 적절한 정보가 없다면 직감과 경험으로 결정을 내려야 한다. 
기업의 생사가 걸린 입찰과 기술 개발이라면 과연 그 결정에 대한 책임은 누구의 몫이 될까?

제가 다니는 모터 회사의 기술 개발 트렌드를 확인하기 위해 구글 트렌드에 접속해 보았습니다.

놀랍게도 5년간 구글 검색 트렌드가 그래프로 나타나며, 향후 모터 시장의 추이를 예측할 수 있게 되었네요.
또한 모터별 지역별 검색 빈도도 확인할 수 있어 해당 제품을 어디에 팔아야 하는지도 알게 되었고요.
설마 하는 심정으로 접속해 보았는데, 믿기 어려울 정도로 정확한 데이터가 한눈에 보이니 깜짝 놀랐습니다.
이런 빅데이터 분석 자료를 무료로 배포해 주는 구글에 감사 인사를 하고 싶네요.

그런데 국내에서는 구글보다는 네이버와 다음이 우위를 점하다 보니, 구글 트렌드에서 국내 자료는 조금 빈약하게 조회가 됩니다.
앞으로는 구글을 더 이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