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으로 산다는 것 - 조선의 리더십에서 국가경영의 답을 찾다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절대 권력의 최정점에 서 있는 왕은 누구나 한 번은 꿈꿔보는 자리입니다.
그런데 왕의 평균수명이 50을 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일반인들이 먹어 볼 수도 없는 산해진미와 매일 같이 왕의 대변을 검사하여 건강 상태를 점검하는데도 말이죠.
매일경제신문사에서 발간된 신병주 작가의 "왕으로 산다는 것" 책을 통해 조선시대 왕을 만나 보시죠.

조선의 창업 군주 태조 이성계와 조선왕조의 기틀을 놓은 태종 이방원.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이지만, 정치적 라이벌이자 평생 왠수입니다.
"함흥차사" vs "유교의 효 사상"의 싸움은 정치적 쇼멘쉽과 국가 통치 이념의 대립입니다.
한때 왕이었던 아버지 이성계는 아들의 염원에 결국은 손을 들었지만, 
과연 왕이라는 자리가 부모 자식 간의 정을 느낄 수 없는 자리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조선은 삼봉 정도전의 경국대전을 통해 신권이 왕권을 견제하는 내각 중심제를 기반으로 한 나라였습니다.
이런 건국이념에 정면으로 도전하여 왕권 강화에 나선 태종 이방원.
모든 걸림돌을 제거하고 절대권력을 아들에게 물려줍니다.
하지만 12살의 왕은 노련한 신하들에게는 손쉬운 먹잇감이겠지요.
신권과 왕권의 대립 속에 다시 신권이 우세한 상황은 왕족들은 위기를 느낍니다.
우리는 어린 조카를 죽이고 왕에 오른 세조를 욕하지만, 과연 자신의 생사가 걸린 상황이라면 누군들 달랐을까요?
조선이란 나라가 없어질 때까지 건국이념인 내각 중심제와 왕본위제의 싸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이런 관점으로 조선의 역사를 본다면,
폐륜으로 점철된 연산군의 실정 역시 신권을 약화하고 절대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이었으며,
선조의 붕당정치 속에 정치적 라이벌들을 제거하는 '사화'역시 신권을 약화시키기 위한 수단이었습니다.
아들을 뒤주 속에 넣어 증살한 영조 역시 자신의 통치기반이었던 노론에 반하는 사도세자를 지켜볼 수 없었겠지요.
이렇듯 왕권 vs 신권이 대립하는 역사가 조선이라는 나라였습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왕이란 자리가 주는 압박과 스트레스가 만만치 않았겠지요?
거기에 자연재해와 왜구 출몰, 국제정세의 변화와 통상 압박 그리고 반란과 전쟁.
500년 조선 역사 속에 과연 마음 편하게 왕의 자리를 지킨 왕이 있기나 할까요?

역사는 돌고 돈다는 말처럼 현대의 민주주의 대통령제 역시 조선시대와 다를 것이 없습니다.
대한민국 역사상 두 번의 대통령 탄핵 사건이 있었습니다.
한 번은 대통령직 유지와 나머지 한 번은 탄핵으로 결정이 났습니다.
과연 무엇이 이를 결정했을까요?
결국은 누가 민심을 얻느냐의 차이였습니다.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는 민심이라는 바다 위에 떠 있는 배라는 것을 잊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