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드라마가 되다 1 한국사, 드라마가 되다 1
호머 헐버트 지음, 마도경.문희경 옮김 / 리베르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외국인으로 남의 나라말을 배우고, 그 나라 역사를 책으로 쓸 수 있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요?
쓰러져가는 조선을 자신이 태어난 나라보다 더 사랑한 사람. 
웨스트민스터사원 보다 조선 땅에 묻히길 원했던 사람.
한글이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언어라 극찬하며, 한글 사용이 저조한 것을 안타까워 한 사람.

1886년 육영공원 교사로 한국에 들어와 20여 년 동안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공부하며, 선생이기에 앞서 신앙인으로 
이 땅에 희망을 심어주던 그는, 대한제국 고종의 특사 자격으로 미국과 만국 평화회의에 참석합니다.

그만큼 조선을 사랑했기에 외국에 조선을 알리기 위해 조선 역사를 영어로 집필합니다.
고종 황제의 윤허를 얻어 조선왕조를 책에 실었고, 고대사와 중세사는 [동사강목]을 인용하고, 또한 [동국통감]을 참조하여 
철저히 검증하여 1,000쪽이 넘는 대작을 발간합니다. 이런 불후의 작품을 남긴 작가는 바로 호머 헐버트 선교사입니다. 

처음에는 과연 이방인이 얼마나 알까? 하는 의심이 들었지만, 
고대 설화와 중국의 문헌을 대조하며 정리한 것을 보며 깜짝 놀랐습니다.
과연 단군 신화부터 삼국의 탄생 설화까지 한국인도 알기 어려운 내용의 글이 올라와 있습니다.
더욱이 이 책이 부각되는 것은 일제 강점기를 겪기 전 자주적인 조선의 역사를 반영했다는 점입니다.
한국사는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일본의 식민사관 교육을 통해 역사를 왜곡시켰습니다.
지금 논란이 되고 있는 국정 교과서 역시 이런 왜곡들을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고,
거기에 군부 독재를 미화하는 내용까지 덧붙였다고 하니 더욱 개탄스러울 따름입니다.

[한국사, 드라마가 되다] 1권에는 고대사부터 조선 초기까지가 담겨 있습니다.
고대부터 중국이라는 강대국에 생존을 위해 머리를 숙이며 왕권을 인정받는 모습이 조금은 비굴해 보입니다.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반론해 보지만, 
북방의 최강국이었던 고구려까지도 조공을 바치며 머리를 숙였다는 점이 더욱 안타깝습니다. 
이런 아픈 역사 인식이 우리 세포에 남아있어, 중국 사람을 미워하고 깔보는 편견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전 세계에서 미국 다음으로 경제력, 국방력을 갖춘 중국을 무시하는 민족은 한국 사람뿐이지 않을까요?

이 책에서 헐버트 선교사는
암울하고 쓰러져가는 조선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해, 외세 침략을 막아낸 전투와 훌륭한 장군을 소개합니다.
여기에 한마디를 덧붙여, '조선 사람들은 예로부터 훌륭한 리더를 만나면 어떠한 난국도 훌륭하게 이겨나간다'라고 강조하였습니다.
이 책을 읽는 대상이 외국인이라 쉽고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책을 기술하였습니다.
책 한 권에 무수한 세월을 정리한 만큼 자세한 기록보다는 큰 사건과 흐름을 위주로 하였습니다.
이 책을 통해 외국인이 바라본 한국사의 모습은 어떨지 만나 보시는 건 어떨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