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자의 전략 - 불황에도 잘나가는 회사들의 27가지 비책
강성호 지음 / 페가수스 / 2016년 10월
평점 :
품절


누구나 돈 많이 버는 꿈을 가지고 창업을 시작한다. 
이를 반영하듯 
통계청과 중소기업청의 통계에 의하면 2000년 이후, 창업기업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4년에는 8만 개를 넘은 신생기업이 2015년에는 9만 개를 넘어섰다. 
창업의 열기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지만 생존 기업률은 얼마나 될까?
2015년 법정관리를 신청한 기업은 1,500여 곳으로 2009년 금융위기 속에 895개의 법정관리 기업보다 약 1.5배 증가한 숫자이다. 또한 대마불사라 믿어왔던 
국내의 굵직한 대기업인 STX, 웅진, 동양 같은 큰 기업도 법정관리를 받는 현실이다.
2013년 현대경제연구원의 연구결과에는, 신생기업의 17.3%가 1년을 넘기지 못하고 58.6%가 3년을 넘기지 못한다고 한다.
창업기업으로 10년 이상 사업을 지속하는 경우는 불과 8.2%라고 한다.
이렇 현실 속에서 경영자들은 뭐 새로운 것 없을까? 어떤 사업을 해야 돈이 될까? 경쟁자를 따돌리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를 고민한다.

그렇다면 혁신 제품을 개발하면 이런 경쟁에서 자유로울까?
 거빌이 2006년에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시장에 출시된 신제품의 실제 가치를 3으로 가정할 경우, 제품 개발한 회사는 이 제품의 가치를 9로 인식한다.
하지만 실제 시장에서 이를 받아들이는 소비자는 실제 가치의 삼분의 일 정도인 1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개발자와 실제 소비자가 느끼는 가치 인식의 차이는 무려 9배나 된다는 것이다.
결론은 혁신 제품이 아니라는 것이다.

과연 어떻게 하면 시장을 정복하고 돈을 많이 벌 수 있을까?
회사의 차별화된 가치 창출을 저자는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기는 전략이란 바로 실천하는 행동을 의미한다고 한다.
아무리 멋지고 훌륭한 아이디어라도 이를 실행하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이다.
변화하는 시대를 반영하여 유통의 혁신, 협업, 신기술 도입으로 차별화된 전략으로 소비자들을 감동하게 하라고 한다.
미국 및 유럽의 기업들은 자본주의 역사만큼이나 오랜 역사와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은 단기간 급성장을 한 탓에 기업문화나 전략이 특히 부족하다.
이런 제약조건을 한탄하지 말고, 우리가 지금까지 추구해 온 성장전략인 선두 기업을 모방하는 패스트 팔로어 전략을 잘 활용하여, 우리만의 독특한 차별화를 통해 생존을 넘어 승리하는 기업으로 이름을 날리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