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몽전쟁, 그 상세한 기록 2 - 참혹한 산하
구종서 지음 / 살림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순실로 인해 대통령이 탄핵된 오늘, 몽골에 대항한 고려에도 4대에 걸쳐 권력을 세습한 최 씨 세력이 있었으니.....
최 씨 권력의 유지가 중요한가 아니면 처참하게 죽어가는 백성이 중요한가?
강화도에서 나와 몽골 황제에게 고려왕이 직접 항복하라는 몽골의 요청을 번번이 묵살하며 고려는 끔찍한 침략을 당합니다. 
이 과정에서 최충헌으로 시작된 무인정권은 아들 최우를 거쳐 손자 최항에 이어 증손자 최의에까지 이어집니다.
고려의 조정에서는 계속되는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여 화친할 것인가 아니면 항전할 것인가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당연히 최 씨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항전을 선택하며 고려 백성들의 삶은 파탄이 납니다.
몽골이 쳐들어 올 때마다 논밭을 불사르고, 식량을 모조리 싸 들고 산성으로 입보하는 청야 전략.
하지만 산성을 포위 당한 채 성 안에서는 굶어 죽는 사람이 속출하게 됩니다.
참 다 못해 목숨을 위해 성문을 열면 몽골군의 처참한 살육에 또 죽어가는 고려의 백성들.


이들 역시 우리의 먼 조상들이었을 텐데, 그들은 이 국난을 어떻게 버텼을까요?
목숨을 건 처절한 항전과 목숨을 살리기 위해 몽골에 귀순하는 것, 과연 어떤 것이 옳은 일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권력을 잃지 않기 위해 백성을 저버린 고려의 최 씨 정권과 허수아비인 고려의 고종 임금.
비선 실세 최 씨와 그를 비호하고 나선 허수아비 대통령.
과연 그들의 눈에는 굶어 죽어가는 칼에 죽어가는 백성이 보이기나 할까요?

백성이 주인인 세상은 고려나 지금이나 매한가지입니다.
과연 백성을 위한 정치와 치도가 무엇인지 생각해 볼 때입니다.
그리고 저 북쪽에 있는 김 씨의 세습도 아마 4대까지는 가지 못 할 것으로 보이네요.
역사는 이래서 중요한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