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으로 살아갈 용기 - 아들러가 남긴 유일한 어른 지침
윌라드 비처, 마거리트 비처 지음, 박예진 엮음, 김효정 옮김 / 이지북 / 2016년 12월
평점 :
절판


다른 동물과 달리 사람은 부모에게 의존하는 기간이 매우 길다는 게 특징입니다.
갓난 아이는 울음과 웃음으로 주위 사람들의 관심을 집중시키며 이들을 조정하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사람을 조정하는 방법을 습득한 아기는 시간이 지나며 건강, 공부, 싸움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부모를 조정합니다.
부모들 역시 자신보다 더 좋은 환경을 자식들에게 물려주기 위해 공부를 강요하며 자식들을 조정합니다.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뭉쳐있지만 서로를 구속하고 조정하는 게 인간의 모습인 것 같습니다.

 부모의 강요에 간섭 속에 자라난 어린이들은 대학생이 되며 가정의 굴레를 조금씩 벗아나봅니다.
하지만 세상은 남들과 비교를 통해 그 사람을 판단하기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좋은 직장, 연봉, 명예, 승진 등등.....
남들에 비해 빠진다고 생각하면 그 사람을 따라잡기 위해 죽을힘을 다해 달리게 하는 욕망 속에 행복이란 발붙일 곳이 없습니다.
하루하루가 피곤하고 힘에 겨운 사람들은 생의 무게를 잊으려 술이나 마약으로 도피를 하게 됩니다.
이들도 이것이 나쁘다는 것을 알지만, 나름 같은 무리 속에 인정받고 있다는 안도감을 느끼며 부정적 퇴행을 이어갑니다.

 어른의 삶이란 무엇일까요?
누구도 어른의 삶이 무엇인지 아이들에게 교육하지 않았고, 알려고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저 부모님의 삶을 보며 잘 모르지만 일을 하며, 가족을 부양하는 것으로 뜬구름같이 생각했습니다.
이렇다 보니 어른이 되어서도 사랑을 갈구하는 의존적 인간으로 전락하고 말았습니다.

 솔직히 책에서는 어른으로 살아갈 용기가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나의 결론은 진정한 자신을 찾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남들이 만들어 놓은 시스템의 노예보다는 진정한 자유를 맞보며 살아가는 인생이 바로 어른이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