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고민하는 게 더 편할까 - 고민될 때, 심리학
가토 다이조 지음, 이현안 옮김, 이정환 그림 / 나무생각 / 201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제목을 보며 아니, 왜?? 라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습니다.
일반인이라면 고민하는 게 싫어 빨리 해결하려 노력할 텐데, 과연 무엇 때문에 이렇게 생각하게 되었는지 궁금했습니다.

 

나무의 주인이 겨울에 나무를 보며
"이 나무에는 왜 꽃도 피지 않아?" 하고 나무를 상대로 화를 낸다.
나무는 그 말을 듣고 열심히 꽃을 피우려 하지만 꽃은 피울 수 없다.
"봄도 아닌데 꽃을 어떻게 피워?" 하는 생각은 하지 않고
꽃을 피우지 못하는 자신을 쓸모없는 나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주인에게 "꽃을 피우지 못 해서 죄송합니다."하고 사과한다.
 이것이 우울증이라는 이름의 나무다.

이 책에서 고민하는 게 더 편한 사람은 바로 우울증에 걸린 사람을 말한다.
왜 계속 고민을 할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보다 문제를 고민하는 쪽이 심리적으로 훨씬 편하기 때문이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자발성, 능동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문제를 고민하는 데에는 자발성, 능동성은 필요 없다.
그들 역시 '고민을 해도 아무런 해결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미 잘 알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고민하는 행위를 통하여 퇴행 욕구가 충족되어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낀다.
이들은 상대방이 단순히 고민을 들어주거나 "그렇게 힘든데도....정말 대단하다."라는 말을 해주기를 바랄 뿐이다.
하지만 자기 연민은 부정적 감정에 집착하는 방식으로 타인을 조작하려는 무의식의 쾌락이다. 

 그렇다면 우울증은 어떻게 치료를 시작해야 할까?
자기 자기 자신에게 걸려 있는 부정적인 암시를 깨닫는 데에서 치료는 시작된다. 
하지만 문제는 이것을 '깨닫지 못한다'는 것이다. 
성인이 된 이후에 마음의 질병에서 회복하려면 자신을 이해해야 한다.
자립하기 위해서도 자신을 이해해야 한다. 
자신을 알려면 현재 감정의 원천을 이해해야 한다.
 
불쾌한 슬픔이나 외로움 등의 부정적 감정이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정보로서 얼마나 소중한가 하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솔직함이란 현실을 인정하는 것이다. 
불평을 늘어놓기 전에 생각을 조금만 전환하면, 삶을 조금씩만 바꿔나가면 그렇게 고민하지 않아도 얼마든지 행복하게 살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