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퀴, 세계를 굴리다 - 바퀴의 탄생, 몰락, 그리고 부활 사소한 이야기
리처드 불리엣 지음, 소슬기 옮김 / Mid(엠아이디)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다 큰 어른이 되어서도 기차가 철로를 달리는 것을 보면 아직도 시선을 떼지 못하고 입을 반쯤 벌린 채로 바라보곤 합니다. 
어쩜 저리 크고 무거운 기차가 저런 속도로 달릴 수 있단 말일까? 만약 바퀴가 네모였다면 어떨까 하는 상상도 해 봅니다.
바퀴는 운송수단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도르래와 같이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생각해 보니 우리 생활 속에서도 바퀴는 정말 많은 일을 하고 있었는데 그 중요함을 모르고 살아왔네요.

 바퀴는 크게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바퀴를 차축 끝에 고정해서 축이 회전할 때 바퀴도 함께 굴러가게 하는 '윤축'과
차축은 가만히 있고 양 끝에서 바퀴가 제각각 굴러가는 유형의 '독립 차륜'이 있고, 
차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뿐 아니라 위쪽에 달린 소켓이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도 회전하는 '캐스터'로 구분이 됩니다.
윤축과 독립 차륜은 이해하는데 캐스터는 뭘까요?
흔히 사무실에서 물건을 옮길 때 사용하는 '대차' 혹은 '손수레'의 바퀴를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바퀴가 발명되기 전에는 모든 물건을 사람이 직접 나르거나 동물의 힘을 빌려 조금씩 이동하였습니다.
하지만 바퀴가 발명되며 수레가 등장하자 운송의 대변화를 이끌어 다양한 산업의 발전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수레 다음에는 철도가 그다음으로는 자동차로 인한 운송수단의 변화를 가져오게 한 것이 바로 바퀴입니다.
이런 세기의 발견에 관한 재미있는 이야기도 많을 텐데, 이 책은 딱딱하고 어려워서 그런지 지겨움이 있습니다.
제목에서는 뭔가 있을 듯한 분위기와 그 일생에 대한 자극을 주지만, 내용은 조금은 실망스럽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