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드레싱으로 월세부자 되기 - 임대수익을 극대화하는 월세집 인테리어 노하우
이민혜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6년 10월
평점 :
품절


회사가 이전함에 따라 살고 있는 집을 팔고 사며 느낀 점.
동일한 시공사에서 건축한 동일한 평면의 동일한 공간, 약간씩 다른 내부 인테리어 말고는 차이점이 없는데,
모두가 똑같은 집을 높은 가격에 팔려고 한다는 점이다. 나 역시 마찬가지로.
이 책을 먼저 만났더라면 조금 일찍 높은 가격에 매매할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네요.

 월세 주택 프로젝트 매니저가 되려면
첫째, 적은 돈으로 투자할 수 있는 물건을 찾는 것.
둘째, 집 수리를 넘어 잘 나가는 집, 팔리는 집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연출력.
셋째,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임대 관리 체계.
이 세 가지를 나마의 방식으로 스스로 구축해 나가는 것이라고 합니다.

책이 다루는 내용의 기준은?
1. 20평대 초반 아파트
2. 구조 변경 없이(철거 범위는 욕실 및 약간의 비내력벽까지)
3. 최저 품질 제품을 제외한 저렴한 범위의 자재 사양.

 '홈스테이징'이란 '팔기 위한 연출'을 통해 예비 임차인의 호감을 끌어당기는 것이다.
집을 팔려면 집주인이라면 내 집이 주변 경쟁 주택보다 눈에 띄게 할 필요가 있다.
<홈스테이징 법칙>
- 밝게! 더 밝게!(조명과 채광)   - 채우기보다는 버리는 용기.    - 중간 톤 페인트 컬러.    - 개인 물품은 아웃!
- 욕실 타월 데코레이션.      - 집안 곳곳 손상된 부분 보수하기.  - 좋은 향기가 나도록 관리하기.
<홈드레싱 시공 순서
철거 -> 도장 공사 -> 타일 공사 -> 도배 공사 -> 바닥 공사 -> 싱크대 공사 -> 전기 마감 공사 및 유리 교체 -> 입주청소

 아파트 공사 후 가장 고민거리가 '결로와 곰팡이 '이다.
이에 대한 완벽한 처리 방법은 없다. 차라리 2년에 한 번씩 기존 수성 페이트를 덧칠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한다.

 책에서는 작가가 개인적으로 경험한 모든 것을 상세히 알려주고 있습니다.
여러 시공을 통해 작가의 손길을 거쳐 거듭난 주택의 사진을 올려 다양한 사례를 보여줍니다.
그런데 읽으며 다양한 사례를 보니 집중이 안 되고 어수선합니다.
책 기획 단계에서 리모델링할 집을 선정하여 하나씩 공사 일정에 맞추어 변화된 모습을 보여 주었다면 좋았을 것 같아요.
그랬다면 더 집중도가 높고 이렇게 홈드레싱을 하면 좋겠구나 하는 마음을 가질 듯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