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2인자들 - 그들은 어떻게 권력자가 되었는가
조민기 지음 / 책비 / 201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올림픽에 열광하며 금메달에 목숨을 거는 것처럼, 인간이라면 최고의 자리를 꿈꾸게 됩니다.
하지만 최고의 자리에 오르기까지 숨은 그림자처럼 성공의 밑거름이 되어준 사람이 있습니다.
제일 먼저 떠오르는 사람은 제갈공명, 관상으로 유명해진 한명회를 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는 실록 뿐만아니라 개인 저작품까지 많이 남아 있어 그 시대를 이해하는 자료가 방대합니다.
조선시대 왕좌에 앉기까지와 친정을 펼치기까지 최고의 지존인 왕을 보필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모아보았습니다.

 아버지 이성계의 역성혁명을 도왔으며, 최대의 정적인 정몽주를 피살한 왕자 이방원.
하지만 그는 정몽주를 피살했다는 이유로 역성혁명의 공신에 이름을 올릴 수 없었습니다.
또한 세자 책봉에도 밀려 나이 어린 막내 동생이 세자에 오르는 것을 눈으로 목격해야만 했습니다.
거기에 신본주의를 내세우는 정도전의 견재 속에 목숨을 부지하기도 어려웠던 비운의 왕자 이방원.
잠룡의 세월, 칼을 갈던 이방원은 정도전의 반대하는 세력을 일격에 제거하고 왕자의 난을 일으킵니다.

 임사홍이란 이름을 아시나요?
임사홍은 세조와 예종, 성종과 연산군까지 4명의 임금을 섬기며 예종과 성종의 사돈으로 연산군의 총예를 받으며
훈구파 중 궁중파의 수장이 되었습니다. 이런 막강한 인척관계를 형성한 임사홍은 차세대 권신으로 입지를 강화하고 있었습니다.
이렇다보니 권신의 횡포에 질린 사림들은 그를 반대하기 시작하여 증거도 없이 유배를 보냅니다.
 20년 만에 유배에서 해배되어 조정에 출사한 임사홍.
3~4년 동안 조정에 출사했지만 자신을 반대한 세력에 대한 철저한 복수극인 '갑자사화'를 일으킵니다.
지산의 복수를 완수한 후 자신 또한 죽음의 길을 선택한 임사홍. 그의 인생이 참 기가막힙니다.

 붕당정치의 핵심, 송익필의 이름을 아시나요?
좌의정 안당가문과 얽힌 송씨 집안의 비극은 아래 취재 글에서 만나보시죠.
http://blog.naver.com/joyjunyi/220761710004

2017년에 [조선의 2인자들] - 2편 이이첨, 김자점, 송시열, 홍국영, 김조순, 이하응, 민자영, 김홍집에 대해 출판될 예정입니다.
이들의 삶이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주고 싶을까요?
벌써부터 기다려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