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생의 마지막에서야 제대로 사는 법을 깨닫게 될까 - 삶의 끝자락에서 마주하는 25가지 인생질문
찰스 E. 도젠 지음, 정지현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16년 8월
평점 :
신은 공평하다고 해야할까? 아니면 잔인하다고 해야할까?
한 번뿐인 인생은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천차만별 다른 삶을 살게되는 인간의 한계를 보며 느끼는 한마디 입니다.
노년은 인생의 무기력함 속에 죽음을 기다리는 시간이리라. 이런 상실은 삶을 다시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된다.
더운 여름 날처럼 치열하게 살아온 젊은 날, 기쁜일 슬픈일 모두 지나가고 살아온 생애만큼 후회만 남는 노년.
죽음을 앞에두고 욕심도 명예도 자존심도 필요 없는 노인의 삶을 통해 우리의 삶을 돌아 보게 됩니다.
책 제목은 책을 통해 인생의 현명한 해답을 얻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책 내용을 다 읽어 보았지만, 인생에 대한 해답이 아닌 요양원에 어떻게 하면 잘 적응할 수 있을까에 대한 대답 같네요.
25가지 인생에 대한 질문과 답을 이어내 보지만 그리 마음에 와 닿지 않습니다.
책을 읽는 동안 요양원에서 돌아가신 아버지가 생각이 나 가슴이 먹먹해 옴을 느낍니다.
암투병으로 힘들어 하시던 중에도 힘겹게 손 흔들어 주시고 힘들게 뭐하러 왔냐며 얼른 집에 가라고 하시던 말씀이 기억납니다.
힘들 때면 집에 돌아가고 싶다고 말씀하셨다던 아버지, 무의식 중에 '아이고, 하나님 얼른 데려가 주세요' 되뇌였던 아버지.
마지막 힘겨운 숨을 쉬며 자식 얼굴을 보고 돌아가시려 3시간을 기다리셨던 아버지.
이런 아버지의 죽음을 보며 내세 신앙을 꿈꾸는 기독교 신앙을 버리고, 윤회 사상을 주장하는 불교에 마음이 움직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이 뭔가를 해 주기를 바라는 기복 신앙보다는 '사람이 부처다' 라는 인본주의 사상이 더 마음에 와 닿는다.
어차피 한 번 죽을 인생이라면 후회를 남기지 말고 하고픈 것은 모두 해 보고 죽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죽음을 앞에 두고 인생의 답을 찾으면 이미 늦을 것이다.
오늘도 하고픈 것이 생각 난다면 버킷 리스트에만 적어 두지 말고 지금 바로 실행해 보자.
그게 인생의 답이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