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략의 한비 지혜의 노자 - <한비자>로 나를 세우고 <도덕경>으로 세상을 깨치다
상화 지음, 고예지 옮김 / 생각정거장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다른때 같으면 200페이지 책은 이틀 출퇴근하는 시간에 완독하는데, 이 책은 무려 4일이 걸렸습니다.
책 내용도 잘 이해가 안되고, 중국의 여러 인명도 나오고, 당최 머리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이유가 뭘까 곰곰히 생각해 보니 원인은 고등학교 윤리 시간 때문이었습니다.
중간, 기말 고사에 나오는 유가 사상의 선현들의 이야기를 뜻도 모른채 무조건 외우던 악몽이......

도가와 법가를 대표하는 한비자, 지혜와 진리를 연구한 노자.
이 위대한 두 사상가의 명언과 고사를 통해 오늘의 지혜를 찾아 봅니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제갈량의 뛰어난 지혜와 혜안에 본받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한비자는 제갈량의 최대 단점은 남에게 권한을 부여할 줄 몰랐다는 점을 꼽았습니다.
촉나라 재상이었던 제갈량은 강력한 권력의 지도자였지만 그는 재상으로써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다.
남의 힘을 빌리지 않고 모든 일을 혼자 감당하려 했던 그의 태도는 다음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개인적인 면에서는 심각한 체력 소모와 피로로 단명했다. 나라 측면에서는 후진양성이 되지 않았고, 다른 인재들이 천거되거나 발탁될 수 없었다.
단적으로 그가 죽고 나서 촉나라는 멸망의 길로 접어들었다.
사람을 쓰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먼저 그 사람을 검증하는 일이다.
앞으로 가능성이 있는지, 등용한다면 크게 쓸 수 있는 인물인지는 물론 어떤 자리에 쓸 것인지 등까지도 모두 그에 대한 이해와 파악을 기초로 해야한다.
그러므로 사람을 쓰는 것은 사람을 확실히 분별해 낸다는 점을 전재로 해야 한다.
포상이 크면 용기 있는 자가 반드시 나오고, 형벌이 엄하면 겁쟁이가 절대 생기지 않는다.
여기에는 한 가지 조건이 있다. 바로 '상벌의 엄격한 구분'과 '말한 것은 반드시 지킨다'는 원칙으로 백성의 신뢰를 얻는 것이다.
이는 집정자가 성공을 거두기 위한 기본 조건이다.
노자는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윤택하게 하고 만물이 무성하게 자라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자신은 오히려 만물과 높고 낮음을 다투지 않고
길고 짧음을 따지지 않는다. 물은 항상 아무런 미련 없이 만물이 모두 싫어하고 낮고 습한 곳에 있길 자처한다. 이는 진정한 도에 가장 가까운 모습이다."
나는 세우고 남을 다스리는 것은 법을 지키고 사리사욕을 버리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에 더해 도를 깨달아 행동한다면 진정한 행복과 평화를 누리지 않을까?
오늘날 문명시대와 어울리지 않을 것같은 고전과 유학의 진리가 우리에게 던져주는 깨달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