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고령화 위기인가 기회인가
폴 어빙 지음, 김선영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16년 5월
평점 :
절판


베이비 붐 시대가 은퇴를 맞으며  노후 파산등 갖가지 사회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어쩔 수 없이 노후화 되는 몸과 장기, 그로 인한 의료비용의 과다 지출, 가진 거라고는 달랑 집 한채. 

뉴스에서도 저출산으로 인해 2030년이 지나면 젊은 인구 1명이 노인 3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끔찍한 뉴스도 흘러나오네요.

이들에게 국민연금이 과연 해답이 될 수 있을까요? ​

고령화에 대한 위기의 목소리가 대세를 이루는 현실에서 이 책은 조심스럽게 고령화가 기회라고 주장합니다.

노년기의 은퇴를 앞두고 갭 이어(GAP YEAR)를 잘 활용해 남은 인생을 어떻게 살아갈 지 준비하라고 합니다.

이 시기를 잘 준비하여 앙코르 커리어를 통해 남은 생애를 희망적으로 보내도록 돕는다.

또한 고령화에 따른 질병은 나날이 발전하는 의학기술을 통해 극복해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베이비 붐 세대는 농업사회와 산업화를 거쳐 현재의 테크노 시대까지 두루 섭렵하며 살아왔다.

이들의 지식과 경험을 과소평가 해서는 안 될 것이다.

고령자들을 재취업을 통해 이들의 노하우를 현장에 접목시켜 나간다면 기술과 지혜의 융합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2천년 이후 출생자들은 아마도 100세를 기본으로 살아간다면 ​우리가 생각하는 정년 60세는 너무 짧지 않을까?

솔직히 고령화에 대한 기회보다는 위기라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은퇴 후 긴 여생을 허비하지 않도록 잘 준비 해야겠고 다짐하게 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