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장은 왜 당신을 간부로 임명하지 않는가 - 일개 사원은 절대 이해하지 못할 사장의 속내
고야마 노보루 지음, 김보미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요즘들어 결정을 미루는 사장에 대한 불만으로 하루가 지겹고 짜증이 나곤 합니다. 그런데 책 차례를 보다 깜짝 놀랐습니다.
"사장의 결정에 불만이 있다면 회사를 그만둬라!" 시작부터 엄청나게 센 코맨트로 시작을 하네요.
관리직으로 15년 근무하며 관리팀장 역활을 하는 저에게는 깜짝 놀랄만한 이야기 입니다.
그동안 5명의 사장님과 근무했지만, 저도 근로자이다보니 사장편으로 일하기보다는 직원 입장으로 일해 올때가 많았습니다.
그동안 저의 직장생활을 되돌아 보며 책을 읽는데 사장의 의견에 동조하지 않는 관리직은 과감히 사직시키라는 이야기에 마른 침을 꿀꺽 삼킵니다.
헐~~ 왜?? 사장이 틀린 것을 틀렸다하며 직원들과 사장의 중재자 역활을 수행했는데 그게 뭐가 잘못됐나?
저자인 고야마 노보루 역시 중소기업, 한때 최악이었던 회사를 최고 경영품질의 회사로 탈바꿈한 사장님이다.
책에서 강조하는 것은 사장의 업무는 "결정하는 일"이고 이를 "실행"하는 것이 관리직이다.
잘못된 결정이라도 바로 실행하게 되면 빨리 실패하게 되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또한 굳이 사장의 의견에 반대하는 직원을 모시고 회사를 꾸려 나갈 필요가 없다고 한다.
시스템으로 회사가 운영되는 대기업과는 다른 환경인 중소기업에서는 독재자형 사장의 역활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럼 여기서 말하는 관리직이라면 경영관리팀, 총무팀, 인사팀등 기업의 서포트 조직을 말하는 건가?
아니, 아니죠~~. 저도 처음에는 저와 같은 관리직군을 이야기하는 줄 알았는데, 여기서 말하는 관리직이라면 과장이상으로 결정권한이 있는 사람을 통칭한다.
사장을 탓하지 말고, 회사를 권두던지 자신이 변하든 양자택일을 강조하는 저자. 일리가 있다고 고개가 끄덕여지며 반성해 봅니다.
사장에게 보고할 때 직원은 자신을 보호하고 두둔하기 위해 좋은 점, 장점만 보고 한다. 이렇게 되면 잘못된 점에 대해 시정할 기회를 영영 잃게 된다.
당신이 관리직이라면 가장 먼저 "나쁜 것부터 보고한다" 는 원칙을 부하에게 가르쳐야 한다.
이렇게 할 때 사장이 현 상태를 파악하고 피해를 최소화 할 방법을 마련하게 된다.
관리직으로 부하 직원을 나무라거나 꾸짖을 때가 있다. 남에게 싫은 소리를 하는 것은 누구나 싫어하는 일이다.
하지만 조직과 부하의 발전을 위해 그들의 실수나 착오에 대해 그냥 넘어가서는 안된다.
당신이 관리직이라면 부하를 혼낼때는 그 "사람"이 아니라 그 사람이 한 "일"을 토대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솔직히 나도 부하직원이 잘못했을 때 화를 내지 못하고 분을 삭히다 못해 폭발한 경험이 있는데 이 원칙을 시행해야겠다.
부하직원의 업무 지시를 확인하는 법은 "네, 아니오"로는 절대로 대답할 수 없도록 질문하는 것이다.
"00 건은 어디까지 진행됐지?", "xx처리는 언제까지 끝날 것 같아?" 처럼 구체적으로 물어야 한다.
귀가 아닌 "입으로 듣고자" 질문하면, 부하도 애매한 대답은 할 수 없다.
일반 직원이 알지 못 하는 사장의 직무와 결정. 고독한 그들의 세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들여다 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 15년 동안 근무하며 몸에 베인 습관과 관습으로 나태한 관리직인 저의 모습에 반성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