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어떻게 권력을 잡았나 - 정신의학자이자 여섯 아이의 아버지가 말하는 스웨덴 육아의 진실
다비드 에버하르드 지음, 권루시안 옮김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육아가 이슈긴 이슈 인가보다.

이번엔 스웨덴 부모들의 육아 전문가들이 친구 같은 부모에 대한 반대 의견을 냈다.

늦은 나이에 첫 아이를 낳을 뿐만아니라 그 아이 하나만을 키우는 핵가족 시대.

모든 것을 아이에게 초점을 맞추어 마치 왕같은 대우를 받으며 아이들이 양육한다.

 책 제목같이 어떻게 아이들이 권력을 잡았을까?

책 내용 뿐만아니라 아이들의 탄생부터 가만히 살펴보자.

세상에 갓 태어난 아기들은 의사소통이 오로지 울음 한가지 뿐이다.

배고파도 울고, 아파도 울고, 오줌싸도 울고, 무서워도 울고......  이때마다 어떤 어른이 나타나서 아기의 필요를 채워준다.

아기때부터 울면 내 모든 필요를 다 들어주는 세상이구나! 라고 아기의 머리에 입력이 됩니다.

그러다 간혹가다가 울어도 안 될때가 있구나 조금씩 학습하며 배워갑니다.

이렇게 눈치 100단의 아이들이 커가면서 부모들의 눈치를 보며 조금씩 자기의 권력의 한계를 늘려갑니다.

또 한가지 예로 집에서 말을 잘 듣던 아이들이 할머니 할아버지 집에 가면 돌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집에서는 부모님의 절대 권력에 순종하지만 이 권력보다 더 힘이 센 할머니만 있다면 부모님도 두려울 것이 없습니다.

이렇게 아이들은 조금씩 부모들을 테스트하며 자기들만의 방법(편식, 밥굶기, 감기걸리기, 조부모들의 권위, 심지어는 가출까지) 으로 권력을 확보해 갑니다.

 부모들도 처음으로 아이를 양육하는 입장에서 어떻게 아이들을 양육해야 할지 모릅니다.

그들이 보고 배운건 자신들을 키우준 부모들의 양육방법입니다. 하지만 이들은 그 방법이 잘못되었다고 생각을 합니다.

좀 진부하고, 권위주위적이고, 편협하고, 독선적이고....... 이렇게 부모들의 양육 방식을 거부하며 현대 육아 전문가들의 방법을 받아들입니다.

친구 같은 부모, 허물 없이 친숙한 가정 분위기, 자유로운 대화 등등. 생각해 보면 참 멋진 모습입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과연 그럴까요?

 왕 같은 대우 속에 자라난 아이들과 서로의 권력싸움 속에 부모들도 속상하기는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정답이라고는 있을 수 없는 육아 현실에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각 가정마다 개성을 현실에서는 정답이란 있을 수 없습니다.

그때그때 올바르게 판단하여 행동할 부모님 의지와 결단 뿐입니다.

전문가나 누가 뭐라고 해도 이런 부모님이 틀렸다고 할 수 없습니다.

책 내용보다는 제 의견이 많지만 하루 하루 고된 부모의 길을 걷고 있는 분들에게 힘내라고 외쳐봅니다.

여러분들이 있어 우리 나라의 미래는 밝습니다. 지금처럼만 해주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