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잃어버린 한국 현대사 - 피와 순수의 시대를 살아간 항일독립운동가 19인 이야기
안재성 지음 / 인문서원 / 2015년 11월
평점 :
이달의 보훈스타 카페 온라인 기자 활동을 하며 독립운동가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1년 동안 활동을 하며 왠지 뭔가 허전한 생각이 드는데 그게 무었인지 알지 못했습니다.
조선의 독립운동은 김구의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중심이 되어 조직적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했다고 배워왔고 아무 의심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임시정부의 주요 활동은 중국내 서양 조차지에 사상과 계파가 다른 각 세력을 하나로 뭉치는 주요 활동이 전부였습니다.
한마디로 정부를 구성하는 일이 가장 중요한 일이었습니다.
그 외에 무장투장을 위해 한국독립군을 창설, 윤봉길과 이봉창등 몇 건의 의열투쟁을 빼면 눈에 띄는 독립운동은 거의 없습니다.
그럼 국내에서의 독립운동은 어떻게 진행되었을까요?
그 답이 바로 조선공산당입니다.
국내에서 반일투쟁의 일환으로 개몽운동, 노동자들의 권익 신장을 위한 노동쟁의 와 파업투쟁, 암살을 통한 의열투쟁.
많은 업적과 활동을 통해 국내 감옥에는 조선공산당 당원이 넘쳐 날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꼭두각시 이승만 정권이 들어섰고, 소련의 꼭두각시인 김일성이 정권을 잡으면서 조선의 독립을 위해 피흘린 조선공산당이 설 자리를 잃게 됩니다.
미국의 신탁통치를 인정하는 이승만 정권에 맞서 사상범으로 몰려 구속되거나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 운명인 조선공산당은 더 이상 유지가 어렵게 되었습니다.
조선공산당의 주요 인사들이 북한으로 건너가 이상세계를 건설하려 하였으나, 이 역시 소련의 꼭두각시인 김일성이 가만 놔둘리 없었습니다.
처음에는 열렬한 환대를 받고 고위 관직을 올랐지만 몇 년 안에 미국 간첩의 누명을 쓰고 차례차례 죽음의 길로 가게 됩니다.
조선의 독립운동가들은
일제시대에는 일본 헌병과 경찰에 죽임을 당하고,
해방 된 후에는 남한에서는 미국의 꼭두각시 이승만을 등에 엎은 친일 세력과 친일 경찰에 죽임을 당하고,
북한에서는 소련의 꼭두각시 김일성이 자기 왕국을 만들기 위해 누명을 씌워 죽이고,
결국 조선의 독립운동가들은 해방 전후 어디에도 존재할 수 없는 슬픈 영혼들이 되었습니다.
그들의 피와 순수한 열정을 어디에서 보상 받을 수 있을까요?
이 책을 읽으면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가 다시 한 번 뜨거운 감자로 와 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