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3 경성을 뒤흔든 사람들 - 의열단, 경성의 심장을 쏘다! 삼성언론재단총서
김동진 지음 / 서해문집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열단" 역사 교과서에서 무장 독립단체로 잠깐 스쳐지났을 뿐 자세히는 몰랐습니다.

신채호 평전 속에 의열단선언인 조선혁명선언을 단재 선생님이 지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의열단의 수장인 약산 김원봉은 20대의 젊은 나이에 비밀 결사조직인 의열단을 창단하여 일제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였습니다.

이 책에서는 김상옥 의사의 종로경찰서 폭탄과 총격전,  김시현과 황옥 폭탄 밀반입 사건을 다루고 있습니다.

 김상옥의사는 종로경찰서 폭탄투척 사건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상은 다른 사람의 행동으로 결론 지어졌습니다.

김상옥의사는 조선의 3대 총독인 사이토를 저격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어 특별히 행동을 삼가고 있을 때였습니다.

이런 그가 경찰의 눈을 끄는 일은 저질르지 않았겠죠?

우연히 폭탄테러가 일어나자 일본 군경은 불순분자 색출을 위해 경성을 이 잡듯 뒤지기 시작했습니다.​

이때 김의사의 행적이 일제에 드러나서 뜻하지 않게 체포의 위험 속에 경찰의 포위망을 뚫고 피하며 저항하다 자결하게 됩니다.

그래도 경성의 한복판에서 총독 암살을 위해 의열단이 활동했다는 점과 체포과정에서 혼자 힘으로 경찰 여러명을 사살하는 성과를 올리게 됩니다.

 김의사의 시도는 실패로 끝났지만​ 의열단에서는 또 다른 폭탄거사 작전이 진행 중이었습니다.

의열단은 초기 조잡한 폭탄 제조기술을 습득하여 만든 폭탄으로 거사의 효과를 보지 못하자 헝가리 출신 마자르의 도움으로 고성능 폭탄을 확보하게 된다.

문제는 이 폭탄을 어떻게 일제의 감시를 피해 경성으로 들여 보내는가가 문제였다.

이때 일제의 경찰 간부까지 오른 황옥이 김원봉 체포를 위해 만주로 왔다가 의열단에 가입하게 된다.

황옥은 원래 독립운동을 위해 만주로 망명했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국내로 돌아와 일본말을 배워 경찰에 투신한 사람이었다.

하지만 일제의 주구 노릇을 하였을지언정 그 뜻은 언재나 독립운동을 향하고 있었다.

김상옥의사의 순국 후 이를 이용해 만주에서 그 뜻을 펼치며 약산을 도와 의열 투쟁에 합류하게 된다.

황옥의 귀국길에 의열단의 고성능 폭탄을 국내로 반입하였고 여러 루트를 통해 경성으로 폭탄이 들어오게 된다.

이번 거사의 자금줄인 고려공산당 당원의 집에 폭탄을 분산 배치했지만, 이를 안전한 곳으로 재 배치하는 과정에서 그만 일제 밀정의 손에 맡기게 된다.

이 당시 얼마나 많은 밀정들이 자신의 존재를 숨기고 활동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라 하겠다.

의열단의 목숨과 고려공산당의 막대한 자금으로 경성의 여러 기관을 폭발시켜 조선의 독립의지를 온 세상에 알릴 거사가 시작도 못하게 된 것이다.

 조선의 젊은 의사들의 숭고한 뜻이 펼쳐 보기도 전에 실패한 안타까운 역사라 하겠다.

만약 이 때 의열단의 거사가 성공 했더라면 어떻게 되었을까? 만약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