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족함 - 은혜를 담는 그릇
최병락 지음 / 두란노 / 2015년 8월
평점 :
"부족함"이 죄가 되는 세상에 목사님이 책을 내었습니다. 그 제목은 바로 부족함.
그런데 내용은 딱딱하지 않고 일반 세상의 수필 같이 편하게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럼 부족함에 대해 어떻게 말씀하는지 알아볼까요?
"부족함은 예수님의 관심을 집중적으로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우리의 부족함은 하나님의 능력이 머무는 자리입니다."
"진정한 행복과 감사는 부족함 속에 숨겨 놓으신 하나님의 보물을 발견할 때 찾아오는 것임을 알아야 합니다."
"아픔은 사명입니다. 부족함은 그 자체로 사명이 될 수 있음을 항상 기억해야 합니다.
많은 경우에 부족함 때문에 누군가에게 더 큰 위로와 용기를 줄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길 바랍니다."
"부족하면 모든 것이 감사로 바뀝니다. 부족하면 내게 없는 것보다 있는 것의 가치를 알게 되죠.
너무 많으면 무엇을 가졌는지 모르지만, 부족하면 내게 있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 단박에 알게 됩니다.
그래서 부족해도 얼마든지 행복할 수 있는 것입니다."
"믿음이란 하나님이 만드신 남을 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만드신 나를 보는 것입니다.
나를 보면 겸손해지고, 남을 보면 열등감에 빠집니다. 세상의 모든 사람은 아름다운 사람입니다."
"겸손은 하나님이 주신 아름다운 성품이며 선물이지만, 열등감은 겸손을 왜곡시킨 사탄의 모조품입니다.
부족함이 겸손의 옷을 입는다면 믿음의 영웅들처럼 쓰임 받을 것입니다.
하지만 부족함이 열등감으로 바뀐다면 하나님은 그 열등감이 치유되기 전까지 우리를 쓰시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사람은 어떤 것을 채우더라도 만족할 수 없습니다.
단, 하나님의 사랑이 그 안에 녹아지고 삶에 대한 그들의 시각이 바뀔 때
바울처럼 "내게 능력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다" 고백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절대 긍정이 아닌 모든 것에 만족했기 때문입니다.
"내가 궁핍하므로 말하는 것이 아니니라 어떠한 형편에든지 나는 자족하기를 배웠노니" (빌4:11)
바울은 가난을 부유함으로 바꾸지 않았습니다. 배고플 때 요술을 부려 빵을 만들어 내는 능력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모든 상황 가운데서 감사하는 마음으로 일관했습니다.
가난에도, 배고픔에도, 어떠한 부족함에도 만반의 준비를 끝낸 사람. 바울.
그를 본받아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