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 신앙을 위한 질문들 - 김세윤 박사에게 묻다
김세윤 지음 / 두란노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독교인이라하면 예수님을 주인으로 모시고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하는 사람들을 일컬어 말하는 용어였습니다.

하지만 오늘의 기독교인이라는 단어는 긍정적인 뜻보다는 부정적인 뜻으로 많이 인용됩니다.

9시뉴스에 자기를 비방했다는 이유로 목사가 칼을 들고 다른 목사를 찌르는 일까지 부끄러워 얼굴을 들 수 없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성경에 나오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해야할 기독교와 목사들이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예수님은 우리에게 세상에 '소금과 빛' 이 돼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마5:13~16)

교회는 먼저 세상의 '소금'으로서 세상의 부패를 막고, 상처를 치유하며, 세상을 살맛나게 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래야 세상에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전파해 어두운 세상을 밝히는 '빛'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는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고자 하였다. 순서가 바뀐 것입니다.

세상의 부패를 막고 상처를 취유하기는커녕, 교회의 내부가 심히 부패하고 서로 상처를 주고 받는 장이 되었습니다.

그런 교회의 그리스도인들이 '빛' 노릇을 한다고 전도하고 선교하니, 요새 유행어대로 "너나 잘하세요" 하고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을 냉소적으로 비난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교회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죄사함과 무죄선언이라는 법정적 의미로만 '이신칭의​의 복음'을 선포할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로 회복이라는 관계론적인 의미도 함께 강조해야 한다.

'칭의'는 하나님 나라로 들어가 하나님의 통치를 받는 사람이 됨을 의미하며, 하나님의 통치를 받는다는 것은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라는 계명에 순종하는 것을 의미함을 알게 된다.

"이중계명 = 하나님 사랑 + 이웃사랑"

​우리가 잃어 버린 '이웃사랑'을 회복한다면 동성애자, 우상숭배자, 타종교인등 모든 사람을 이해할 수 있고 그들을 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종교다원주의를 받아들이자는 것은 아니다.

'구원'은 인간 스스로 구원할 수 없기에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 신앙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복음'​을 굳게 지켜야 할 것이다.

진정한 기독교적 정신을 가진 사람이라면 그들을 멸시하거나 적대하는 것이 아니라, '아 저분들은 그리스도의 은혜를 모르기에 자신들의 방법으로 진리를 깨닫고 구원을 얻으려 하는구나. 참 안쓰럽다. 어떻게 하면 저 분들을 도와 그리스도의 은혜를 알게 할 수 있을까? 하는 마음을 먹고 그들에게 친절을 베풀어야 할 것이다.

타 종교인들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것이 기독교인의 도리라면, 그들에게 주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증거하는 것은 그리스도인의 의무다.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이렇게 당부하셨다.

​"그들로 너희 착한 행실을 보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라"(마 5:16) 

우리는 자신들의 위치에서 복음의 정신, 성경적 원칙을 반영하려 노력하여 우리 사회에 인권이 확대되고, 사회정의가 실현되며, 화평이 증진될 때,

사람들은 우리의 '착한 행실'로 인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된다. 이렇게 될 때 기독교가 신뢰와 존경을 얻고, 전도의 문도 열리게 된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의 통치와 그리스도 예수의 사랑에 순종하여 그런 '착한 행실'을 할 때. '의의 열매'를 맺을 때 교회는 세상에서 하나님 나라를 실현시키는 '일꾼', 또는 사단의 통치를 무찌르는 '군사'의 소명을 다하게 될 것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