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 대한민국 재테크 트렌드
조선일보 경제부 엮음 / 원앤원북스 / 2025년 2월
평점 :
2024년 12월 3일,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2025년 1월 미국 제일주의 트럼프 정권 출범, 가자 지구 전쟁 종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예상, 트럼프의 보편 관세 및 FTA 철회 등 대외 변수가 너무 많은 상황이다. 그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대외 성장률 전망치도 1.5% 아래로 예상되는 시기. 예측 불가능한 2025년도에도 내 돈을 잃지 않고 오히려 더 불릴 방법은 없을까? #원앤원북스 에서 출간된 #2025대한민국재테크트렌드 를 통해 알아보자.
2025년 미국의 2번의 금리 인하를 예상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도 금리 인하를 하며 부동산 경기가 살아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직까지 부동산 실물에 투자하기보다는 미국의 부동산 리츠 상품에 투자해 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라고 추천한다. 하지만 미국의 상업용 부동산 공실 문제 그리고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쇼핑이 뉴노멀이 된 지금에 부동산 리츠 상품은 조금 위험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사실, 지난 2년간 금리 인상으로 인해 영끌한 사람들이 이자를 견디지 못하고 내놓는 물건과 경매로 나오는 물량이 늘어났다. 여유 자금이 있는 사람이라면 부동산 실물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선택이지 않을까 생각도 남아있지만 탄핵 정국이 지나는 시점을 보고 선택하는 것도 나쁘지 않으리라.
2025년 하반기까지 여유 자금을 운용할 방법은 없을까?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수혜 업종이 대안으로 떠오른다. 조선업과 전후 복구 사업 관련된 건설업도 고려해 볼 만하다.
직접 투자보다는 지수를 따라가는 ETF 투자는 어떨까? 단순히 주가 지수를 따라가는 패시브 ETF보다는 운용 매니저가 시장 상황에 따라 종목을 변경할 수 있는 액티브 ETF를 추천해 본다.
ETF 중에서도 트럼프 2.0시대에 각광을 받을 미국 전력 산업에 투자하는 ETF 상품을 소개한다. AI 시대를 맞아 데이터 센터에서 소비되는 엄청난 전력을 생산해야 한다. 하지만 미국의 전기 생산시설은 1980년대의 시설로 전력 생산이 부족한 시점이다. 또한 대형 생산 시설보다는 사기업의 전력 생산망이기에 절대적으로 전력이 부족한 현실이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에서 출신한 #KoAct미국천연가스인프라액티브 상품을 추천한다.
자사의 상품을 추천하는 약간의 꼼수는 부렸지만 미국의 상황을 알고 6개월 정도 투자하기엔 무리가 없어 보인다.
증권사 HTS를 통해 현재 가격을 살펴보니 15,540원, 가격의 변동폭을 봤을 땐 어깨 이상의 금액으로 지금 들어가기엔 부담이 된다. 해당 상품의 차트를 살펴보니 지지선에서 반등 초입이라고 하는데... 가격이 조금 부담이다. 해당 ETF 토론실에 들어가니 #KODEX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 종목을 알게 되었다. 현재 13,370원 대략 허리 정도에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이지만 차트로는 아직 하락할 가능성이 많은 상품이다. 고민이다.
새로운 종목을 알았다는 기쁨과 단기간 자산 운용할 수 있는 상품을 통해 손해 없이 자산을 지켜볼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어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