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이 분노에 답하다 - 분노라는 가면을 쓴 진짜 감정 6가지
충페이충 지음, 권소현 옮김 / 미디어숲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분노는 마치 로켓과 같아서 한 방향으로 1단계에서 최종 분리까지 빠르게 질주한다. 분노가 폭발하고 나면 주위엔 상처와 아쉬움만 남는다. 어떡하면 이 활화산과 같은 분노를 멈춰세워 이성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심리학이 대답했다.


분노는 우리에게 익숙하고도 낯선 감정이다. 분노가 낯선 이유는 뭘까? 우리는 대개 자신이 분노했다는 사실은 알지만, 분노의 배후에 무엇이 있는지는 생각하지 않는다. 분노는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일 뿐 그 배후에는 억울함, 기대, 심판, 무력감, 두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분노를 표현하는 데는 익숙하지만, 그 배후에 담긴 정보를 이해하는 데는 서툴다.

분노는 나쁜 일이 아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분노를 억누르거나 충동적으로 분출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분노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해야말로 변화를 이끄는 최고의 길이다. 분노가 지나간 후 혼자 있을 때 자신에게 왜 분노했는지 물어보자. 당신은 분노할 자유가 있다. 분노할 자유란 분노를 생각하고 분노를 억누르고 분노를 분출하고 분노를 이용할 수 있다는 말이다.

우리가 분노하는 이유는 상처를 입었기 때문이다.

비난은 매우 흔히 보는 분노 표출 방식이다. 비난의 핵심은 '나는 상처받았어! 나를 불쾌하게 했으니 나도 널 괴롭게 할 거야!이다.

분노 역시 신호다.

분노는 괴로운 감정이지만 우리의 마음 깊은 곳에 이상 증상이 나타났다고 알려주므로 의미가 있다. 우리가 어떤 행동을 해야 한다면 그 대상은 분노가 아니라 마음속의 진짜 문제다. 분노가 자신을 더 이해하고 강하게 만드는 기회이자 출발점이 되는 것이다. 분노 탐구는 자신을 이해하고 더 강하게 변화시키는 최고의 방법이다. 따라서 분노가 지나간 후에 분노에 대해 탐구하라고 제안한다.

타인의 행위에 대한 나의 해석, 라벨링

화가 나는 이유는 타인의 행동이 아니라 타인의 행위에 대한 나의 해석 때문이다. 이 해석의 과정이 바로 '라벨링 labeling'이다. 라벨링은 자신의 내재적인 경험과 이해에 따라 외재적인 사물을 가공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이 그다음의 감정을 결정한다. 라벨링은 우리의 대뇌가 만들어낸 판단이지 객관적인 사실이 아니다. 라벨링은 대개 다른 사람을 주의 깊게 관찰하지 않는 행위에서 이뤄진다. 하지만 상대방에게 어떠한 라벨을 붙이면 그 사람의 진면목을 알아볼 동력을 상실하게 된다.

분노는 일종의 부정

타인에게 라벨을 붙이는 것 자체로는 분노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 라벨에 부정적인 느낌 또는 거부감이 생겨야 분노 감정이 형성된다. 마음속에 분노라는 감정이 생기면 화도 나지만 슬픔도 느껴진다. 마치 '나는 정말 비참해!'라는 마음의 소리가 들리는 것 같다. 분노하는 사람은 '나는 피해자'라는 생각을 버리지 못한다.

분노를 치료하는 칭찬

분노는 잠재의식이 자기 가치를 찾는 과정이다. 그래서 칭찬은 분노를 치료하는 명약이다. 타인과 깊은 관계를 형성하고 싶다면 그 사람이 분노할 때 그의 마음 깊은 곳에 자리한 '인정받고 싶은 욕구'를 진심으로 알아주고 인정해 주면 된다. 누구든 분노하면 강해 보이지만 사실은 역설적이게도 방어력이 가장 약할 때다.

스트레스를 감당하기 힘들 때 분노가 생긴다.

분노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신호'다. "주의하세요! 남은 에너지가 얼마 없습니다. 당면 과제를 해결할 수 없으니 즉시 충전하거나 과제 수행을 멈춰야 합니다!" 즉, 자신을 보호하는 조치를 하라고 알려 주는 것이다. 분노는 우리가 아플 때 나는 열과 같다. 첫째는 신호 기능이고, 두 번째는 보호 기능이다.

나에 대한 요구 먼저 해결하기

분노는 기회다. 다른 사람에게 하는 요구를 보며 내가 평소 나에게 어떤 요구를 하는지 깨달을 수 있다. 따라서 분노할 때 먼저 자신에게 질문하자. 그에게 무엇을 요구하는가? 자신에 대한 요구를 상대방에게 요구하는가? 타인에게 가혹한 요구를 할 때 자신에게도 이렇게 가혹한 요구를 한 적이 있는가? 분노는 나를 알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분노는 상처를 포장한다

분노한 사람은 온몸에 뾰족한 가시가 가득한 고슴도치와 같다. 고슴도치의 가시를 젖혀 보면 부드러운 가죽과 살이 보이듯이, 분노는 연약한 마음과 상처받은 자신을 보호하고자 한다. 분노는 '보호를 위한 감정'이다.

나약함을 해결하는 건강한 방식

나약함을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하소연'과 '경청'이다. 다른 사람에게 나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억눌린 감정을 배출하고 "사실 나는 억울해!"라고 말하면 억울함이 반으로 줄어든다. 또 "에너지를 계속 소모해서 너무 지쳤어."라고 말하면 피로감이 줄어든다. 또 "나는 너무 형편없는 것 같아. 자신감이 떨어져."라고 말하면 자존감이 다시 올라간다. 이처럼 나약함을 직접 드러내면 다른 사람의 이해를 구하기 쉽고, 위로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정말 이해받고자 한다면 나약함을 드러내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먼저 자신의 나약함의 '원인'을 알려준다. 나약함의 원인을 상대방에게 자세히 들려주면 이해받을 가능성이 커진다. 나약함이 서로를 향해 움직여야 진정한 감정이 유발된다. 서로의 나약함을 느끼면 분노를 일으킨 그 일이 더 이상 중요하지 않고 서로를 향한 진심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분노는 욕구다. 우리는 다른 사람이 나의 강점을 신경 쓰고 나의 욕구를 채워 주고 내가 원하는 사랑을 주길 바란다. 그리고 그들이 나를 위해 행동하지 않으면 나는 분노한다. 하지만 나의 욕구가 나의 문제고 타인과 관계가 없다고 생각하면 그렇게 분노하지 않는다.


여러 가지 좋은 방안과 분노의 원인을 설명해 주었지만 현실에서 과연 잘 적용될지 의문이다. 과연? 아무튼 분노가 지나가면 그 원인을 곰곰이 살펴보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