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른 뇌에 행동 스위치를 켜라
오히라 노부타카 지음, 오정화 옮김 / 밀리언서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는 사실 게으르지 않다. 생존을 위해 너무 많은 정보들을 처리하느라 엄청 바쁘다는 것을 우리가 모르고 있을 뿐이다. 그렇기에 뇌는 새로운 일 혹은 스트레스 상황을 무척이나 싫어하기에 가능한 일을 바로바로 처리하기를 원치 않는다. 뇌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일을 미룰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우리 일상은 그리 녹녹치만은 않다. 그럼 어떻게 해야 뇌도 부담을 주지 않으며 일을 빨리빨리 처리할 수 있을까? '게으른 뇌에 행동 스위치를 켜라' 책을 통해 그 해법을 알아보자!


행동 스위치는 누구에게나 존재한다.

무심코 미루고 마는 사람은 단지 스위치 켜는 방법을 잊어버렸을 뿐이다.


일을 미루지 않고 '바로 행동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행동의 실마리', 즉 행동을 위한 첫발을 내딛는 것이 포인트다. 도저히 첫걸음을 내디딜 수 없다면 가장 첫 단계의 허들을 끝까지 낮추는 것이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 우선 10초 만에 할 수 있는 일부터 시범 삼아 움직여보자. 10초 액션 단계에서는 그 누구도 실패하지 않는다. '실패하지 않기' 때문에 비로소 다음 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집중력은 도중에 한 번 끊어지면 좀처럼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는다. 사실 중단한 업무를 매끄럽게 재개하기 위해서는, 바로 일을 다시 시작한 후의 가장 첫 업무를 미리 메모해두는 것이다. 일을 착수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이유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가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전날에 미리 다음 날 아침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을 구체적으로 메모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해야 할 일들로 머릿속이 꽉 차 있으면 일반적으로 눈앞의 일에 집중할 수가 없다. 이럴 때는 신경 쓰고 있는 일을 전부 종이에 써 보는 것을 추천한다. 머릿속이 빼곡하게 가득한 상태에서는 처리하기 어렵지만 그것이 '가시화'된다면 놀라울 정도로 다루기 쉬워진다.

불가능한 이미지를 떠올리는 순간 우리 뇌는 무의식적으로 하지 않을 이유, 바로 행동하지 않는 것을 정당화하는 이유를 찾기 시작한다. 이처럼 부정적인 이미지는 행동을 방해하는 큰 요인이 된다. '바로 행동으로 옮기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해냈다!'라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자신도 모르게 '왜 나는 하지 못할까'라며 스스로를 지적하거나 비판하는 악순환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바로 '잘하고 있는 일'을 적어보는 것이다. <할 수 없다 안경>이 아닌 <할 수 있다 안경>을 끼고 사물과 상황을 바라보는 것이다. 적으면서 발견한 '해냈다!'가 '다음에도 할 수 있을 것 같아!'로 이어지게 된다. 이처럼 아주 사소하더라도 자신이 성공한 일을 종이에 적어보면 작은 성장을 더욱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포인트는, 완벽하게 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부분 점수를 줄 것!

사람들은 무심결에 자신을 다른 사람과 비교하며 일희일비하고 있다. 대부분 많은 사람이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서 질투나 초조함, 열등감, 자신감 상실, 자만심, 우월감 같은 감정이 샘솟아 결과적으로 행동으로 연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다른 사람과의 비교'가 아니라 그로 인해 감정이 부정적으로 바뀌고 '행동을 멈추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않을 수 있을까? 방법은 다른 사람과의 비교가 아닌 과거의 자신과 비교하면 된다. 이를 바탕으로 '나도 아주 못난 사람은 아니구나'라는 생각이 들어 쉽게 행동으로 착수할 수 있다.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싶지만 자신도 모르게 인터넷 뉴스를 본다던가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리는 등 결국 허무하게 시간을 소비한다. 그 시간이면 미루고 있던 일을 끝낼 수 있었을 텐데... 우리가 결국 이렇게 되는 이유는 업무에 시간제한을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시간을 제한하지 않으면 하나의 일을 끝내는 데 필요 이상의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반대로 말하면 어떤 업무라도 시간에 제한을 두면 집중력이 높아지면서 빠른 시간 안에 끝낼 수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이다. 하지만 그것을 실행으로 옮기지 않기에 바로바로 일에 착수할 수 없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작은 실천이 가장 중요하다는 결론으로 책을 마무리한다.

#게으른뇌에행동스위치를켜라 #밀리언서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