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시 쓰는 경영학 - 성공하는 기업의 4가지 혁신 전략
정인호 지음 / 파지트 / 2022년 1월
평점 :
지구촌은 이제 '강자'와 '약자'가 아니라, '빠른 자'와 '느린 자'로 구분될 것이다.
변화와 혁신은 과거의 지식과 경연 전략을 다듬어 일부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리셋하는 수준이어야 한다.
이 책에서는 과감한 변화와 혁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경영 전략', '성과주의', '조직 운영', '소비자의 맥락'이라는 네 개의 핵심 키워드를 제시한다.
경영 전략
급변하는 시기엔 경험과 기존 지식이 오히려 저주가 된다. 새로운 것을 얻기 위해서는 우선 가진 것을 버려야 한다.
오늘날 대다수의 육체적 정확성을 요구하는 직업들은 인공 지능, 기계화되어 인간이 차지하는 부분이 거의 없다.
이제 과감히 늘 해왔던 경험, 습관적 명제는 버리자. 본질만 가지고 승부를 내는 시대는 끝났다. 제품이나 서비스를 본질로 한정 짓는 근시안적 사고의 본능을 극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고객이 제품을 구입할 때 제품의 어떤 점이 좋았는지만 물어보지 말고 어떤 '+a'가 있으면 더 유용할 것 같은지 물어보라. 신성장 동력의 창출은 완전히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의 제공이 아니라 제품 간 연결 관계에서 생겨난다.
성과주의
성과주의 인사 제도는 조직 운영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문제는 과연 성과를 어떻게 정의하고 측정해야 할지 모호한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전통적 성과주의는 개인별 성과 지표(KPI)가 실질적인 조직의 목표 달성과 구성원들의 성장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인식, 성과 지표 도출 과정 및 평가 절차 등 제도가 복잡하고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이 과다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VPI 중심 역할 주의'의 가장 핵심은 평가 지표가 KPI가 아니라 VPI(Vision Performance Indicator)라는 점이다. 모든 구성원은 VPI 하나로만 평가받는다. 비전의 달성과 개인의 실적보다 조직의 실적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조직 운영
자율성 부여가 회사 전체의 목적에 걸맞게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직원들이 회사의 경영 철학과 기업의 핵심 가치를 깊이 이해하고 공유해야 한다. 무언가를 할 때 목표부터 세우는 방식은 틀렸다. 우리는 '가치'에서 출발해 '목표'로 나아가야 한다.
소비자의 맥락
우리의 인식에 첫 번째 포지션을 차지한 상품과 사람을 쫓아내기란 정말 어려운 일이다. 인간의 뇌를 최초 선점하면 포지션에 각인된다.
카테고리 법칙의 핵심은 'CEP(Category Entry Point)'라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간단히 먹는 점심 메뉴'를 생각했을 때 가정 먼저 '빅맥'을 떠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새로운 제품을 출시할 때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질문은 "이 제품이 경쟁사의 제품보다 어떤 점에서 좋은가?"가 아니라 "어떤 점에서 최초가 되어야 하는가?"가 되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신제품이 최초가 될 수 있는 CEP는 무엇인가?"로 질문해야 한다. CEP 중심의 전략적 접근 방법은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우리 브랜드를 더 좋아하게 만들까?'라는 브랜드 지향의 전통적 규칙을 파괴한다. 이제 브랜드는 잊어라. 대신 CEP를 생각하라.
#다시쓰는경영학 #파지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