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 - 인간의 선량함, 그 지속가능성에 대한 뇌과학자의 질문
김학진 지음 / 갈매나무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누군가의 인정을 받고 자라간다. 아이가 처음으로 트림을 했을 때, 첫걸음을 걸었을 때 부모들의 칭찬과 인정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선생님과 친구들의 칭찬과 인정을 받고 자란다. 근래에는 SNS가 등장하며 타인의 관심과 인정을 더욱 갈망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사람들이 이토록 타인의 호감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집착까지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집착 뒤에는 자기 과시욕이 숨어 있다.

처음에 누군가에게서 호감이나 감사 혹은 인정을 이끌어낸 특정 행동이 점차 잦아지고 반복되면, 점차 그 행동을 하지 않으면 이전과 동일한 수준의 인정과 호감을 얻지 못할 것이 두렵거나 불안해 그 행동을 지속하게 된다. 결국 인정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해 발생하는 분노 반응은 지나칠 정도로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인정 중독의 또 다른 모습이다.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대부분의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을 이끌어내는 데 매우 중요한 공헌을 하고 있다는 점은 결코 부인할 수 없다. 이타적 행동은 타인으로부터 호감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사회 구성원으로서 위치를 공고히 해 줄 수 있는 것으로도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이타적 행동은 자신의 능력과 이타적 성향을 과시하는 '값비싼 신호'가 될 수 있다. 자신의 감정이 인정 욕구로부터 비롯되었는지 파악하고 자각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사회관계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갈등을 피할 수 있다. 인정 욕구는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나타나는 감정의 주요 원인이 되지만 가장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이기도 하다.

책에서는 다양한 뇌 실험과 검사를 통해 이타적인 행동을 분석한다. 여러 가지 흥미로운 실험으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지만 내용이 조금 어렵다. 또한 우리의 뇌는 태어나면서 완전한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자라면서 함께 형성되어가기에 뇌과학으로 다 설명하기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우리의 뇌 구조에 대해 조금은 더 알아갈 수 있었기에 어려웠지만 읽을 만한 가치가 있었다.


#이타주의자의은밀한뇌구조 #김학진 #개정증보 #갈매나무 #뇌과학 #심리학 #이타주의자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독서스타그램 #책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