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비교를 해 보니 적재적소 접근법보다는 적소적재 접근법이 더 타당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이 제도를 도입하지 못했을까?
사실 우리나라에서도 두 차례 도입 시도가 있었다. 1960년대 차관을 들여오면서 와 1990년대 말 외환위기 때이다. 연공서열형 호봉제도에 익숙해 있던 우리 노동환경이 갑작스러운 변화에 이상 반응을 보였을 뿐 아니라 사회적 협의도 제대로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시스템이라도 이를 받아들이는 환경과 조건이 맞아야 하는데, 우리나라의 노동법이나 강경한 노조를 생각한다면 쉽지 않아 보인다.
또한 중견기업 이상에서나 직무 분석이나 직무기술서 작성이 가능할지 몰라도 대다수 중소기업에서는 도입이 쉽지 않아 보인다.
책을 읽으면서도 저자의 의도에는 동의하지만 실제로 적용하기엔 무리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