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으로 산다는 건 - 전현직 임원 20명의 심층 인터뷰를 통한 대한민국 임원의 진짜 이야기
고광모 외 지음 / 플랜비디자인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임원이 되는 것은 모든 직장인의 꿈이지만, 막상 임원이 되면 로망은 금방 무너진다.

실무자 때와는 달리 모든 것을 혼자서 의사결정을 하고 그 결과에 대해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하고 언제 물러날지 몰라 불안해한다. 그래서 임원을 '임시 직원'의 약어이고, 직원들보다 조금 더 받는 연봉은 '생명 수당'이라는 농담을 하곤 한다.

임원은 구성원들의 리더이지만, 그들의 상관인 CEO가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임원으로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요인은 인간관계와 성과다. 사실 임원은 조직관리보다 실적이 우선이다. 임원은 위에서 치이고 아래에서 협조 받지 못했을 때 그들은 외로운 존재가 된다.

사원으로 입사해 임원이 될 확률은 단 0.8%, 중견기업에서는 상위 5% 이내라고 한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임원이 되는 걸까?

전문 지식을 갖은 사람, 성과가 좋은 사람, 여러 분야에 능력이 있는 사람, 성실한 사람 등 다양한 경우가 있다. 그중에서도 경영진이 추구하는 바를 명확히 인식하고, 그에 맞는 성과를 창출해 내는 사람이 가장 먼저 임원이 되지 않을까?

하지만 임원은 실무자로 일할 때와는 완전히 다른 역할을 요구한다.

임원이 되어 조직 전체의 성과를 이끌기 위해서는 자신이 제시한 조직의 목표와 비전을 구성원들이 수용할 수 있도록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구성원들이 역량을 육성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모든 구성원이 조직의 성과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임원이 되면 당장은 좋겠지만 그 의무와 책임은 경험해 보지 않고서는 알 수 없다.

거기에 시한부 인생이라는 가혹한 현실 속에 직장에 올인하는 사람들이 많다.

잦은 접대와 많은 업무량으로 건강을 잃기 쉽고, 가정을 등한시하는 경우도 많다.

당연히 임원이 된다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것을 책을 통해 깨달았다.

특히 임원의 위에 군림하는 절대군주 CEO가 있음을, 그리고 그들의 가혹한 질문과 의사결정이 있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었다.


#임원으로산다는건 #책추천 #책 #도서 #추천도서 #베스트셀러 #플랜비디자인 #서포터즈 #플랜비디자인서포터즈 #서평단

플랜비 디자인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적은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