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코칭 - 탁월한 성과를 내는 리더의 선택
김종명.여재호.이해원 지음 / 플랜비디자인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누구나 발전을 향해 나아가지만 누군가 시켜서 하는 일은 정말 하기 싫다. 새로운 직책이나 부서장이 되었을 때 혹은 회사의 기대에 못 미칠 때 외부 전문가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 사실 중소기업이라면 언감생심이겠지만... 나 역시 이런 기회를 가져보지 못했다. 그래서인지 그룹코칭이란 단어가 생소했다.


오늘날의 리더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열린 태도, 조직의 나아갈 방향을 발견하는 능력, 전략을 수립하고 성취하는 능력'이다. 그러나 이런 역량은 리더 혼자 노력한다고 해서 갖춰지는 게 아니다. 구성원들의 힘과 지혜를 최대한으로 이끌어내야 비로소 가능해진다. 리더에게 요구되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고, 조직 구성원들의 역량을 최대한 이끌어내는 방법으로 그룹코칭이 떠오르고 있다.


그룹코칭의 프로세스

* Greetings: 친밀하고 안전한 공간 만들기

그룹코칭이 성공하기 위해선 참가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참가자들이 마음 놓고 자유롭게 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게 필수적이다.

* Revisit : 실행을 공유하고 학습을 심화하기

지난 코칭에서 도출한 실천 계획을 어떻게 실천했는지, 실천을 통해 무엇을 느꼈는지 등을 서로 공유하는 것이다.

*objective: 초점을 명확하게 하기

코칭 세션의 주제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코칭의 목표와 주제를 합의하는 단계이다.

*Understanding: 집단지성을 이끌어내기

코칭 주제에 대해 본질적으로 이해학,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이해함으로써 보다 나은 해결책을 찾는 과정이다.

*Planning: 실행계획 수립하기

실제로 실천할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의지를 높이는 단계이다.

그룹코칭의 핵심가치

*존중: 사람을 움직이는 힘

존중은 '존경'을 말하는 게 아니다. 또한 칭찬을 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있는 그대로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이다.

*이해: 마음을 읽는 비결

존중이 존재 자체에 관한 것이라면, 이해는 현재 상태에 관한 것이다. 마음을 이해한다는 건 그들의 기분, 생각, 욕구를 이해하는 것이다.

*공감: 사람을 연결해 주는 힘

공감은 평가하고 판단하는 게 아니라 상대방의 생각과 경험 등을 존중하는 것이다.

*탁월성: 지속적으로 탁월한 성과를 내는 성품

코치는 주로 질문을 통해 참가자의 탁월성을 자극한다.


코치의 핵심 역량

*신뢰: 참가자들이 어떤 말을 해도 코치가 비난하지 않고 자신의 말을 있는 그대로 수용해 줄 것이라는 믿음이다.

*진정성: 코치의 말과 태도가 진심으로 느껴질 때 참가자들은 비로소 자신의 마음을 연다.

*경청능력: 코치는 참가자들이 하는 말속에서 핵심을 찾아내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 인식을 일깨우는 능력: 참가자들의 생각을 자극하고, 생각을 연결하고, 탁월성을 이끌어내야 한다.

그룹코칭에 대한 사전 지식과 이론을 정리한 책으로, 그룹코칭을 접해보지 못한 사람에겐 '이게 뭐지?'하는 뜬구름 잡기 같다는 느낌이다. 하지만 코칭이 꼭 사회에서만 적용하는 것은 아니기에, 집에서도 자녀들의 말을 잘 듣고 핵심을 이해하는 부모가 되는데 참고가 된다. 경청, 쉽지는 않지만 한 번 도전해 볼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