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란의 경제 - 과거 위기와 저항을 통해 바라본 미래 경제 혁명
제이슨 솅커 지음, 최진선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19로 인한 사회, 경제 시스템의 붕괴로 민중들의 삶이 고달파졌다.

뿐만 아니라 정부 역시 막대한 지출로 인해 늘어나는 빚의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역사를 돌이켜 보면 이런 전반적인 난국에는 민중들의 반란이나 혁명이 꼭 일어났다. 프랑스 대혁명, 중국과 러시아의 공산당 혁명, 아랍의 봄 등 세계를 놀라게 한 혁명들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발견된다.


열악한 경제 조건, 경제적 기회 부족, 구조적 불평등, 외국의 영향, 무력 충돌에서의 패배, 정치적 대표성의 결여


사람들에게 음식이나 기본적인 필수품이 공급되지 못하면, 사회는 불안감으로 뒤덮이고 혼란을 초래하게 된다. 인간의 삶을 지탱하는 기본 요소가 충족되지 않을 때 사람들은 분노한다. 배고픔을 해결하는 간단해 보이는 문제가 저항과 혁명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코로나19로 인해 열악한 경제 조건, 경제적 기회 부족, 구조적 불평등, 외국의 영향 등이 혁명을 일으킬 요소들이 충족되었다. 작은 불씨 하나가 이런 상황에 떨어지기라도 한다면 사회는 대규모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정부에서는 막대한 재정 지출을 통해 사회 시스템을 안정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1년을 넘기며 정부의 지출도 어느덧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비대면 비접촉의 시대 점점 더 기술, 로봇, 자동화, 인공지능, 그 외의 것이 각광을 받으며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다.

경제적 기회가 부족할 때, 특히 경제에 재앙이 닥쳐 그 여파로 대중들이 느끼는 박탈감이 더욱 커질 때 정치적인 시위와 저항이 발생한다.

이런 현실에서 중국과 미국의 무역 마찰이라든지,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생필품 부족 사태, 테러 등 위험 요소들이 더해진다면,

아마도 민중들의 저항이나 혁명이 발생하지는 않을까 우려된다. 우리는 역사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