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후 내가 이 세상에 없다면
시미즈 켄 지음, 박소영 옮김 / 한빛비즈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0세 시대', '안티에이징'이라는 광고 문구가 종종 들린다.

사람은 언젠가는 죽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오히려 더 죽음은 나와 상관없는 일인 것처럼 살아간다. 마치 내일도 아니 내년도 당연히 온다고 막연하지만 믿음. 이런 믿음은 어디서 오는 걸까?

국립암센터에서 정신종양과 의사로 근무하며 암으로 죽어가는 많은 환자들을 만났다.

희망을, 삶의 의미를, 살아야 하는 이유를 오히려 그들에게서 배웠다.

인생의 마지막 날을 알 수 있다면, 그 삶을 어떻게 사용할까?

그 끝을 안다면 '나에게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일'과 '지금 당장 시작해야 하는 일'을 확실히 구별할 것 같다. 사람이 죽음을 의식하고 힘든 치료를 겪으며 깊이 생각하고 느낀 일은 설득력이라는 힘을 갖게 된다. 환자들이 고난을 경험하면서 병에 걸리기 전과는 다른 새로운 세계관을 발견한다. 이를 심리학에서는 '외상 후 성장'이라고 한다.


평범한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건 당연한 일이 아니었어요.

당연한 건 없다. 그렇게 생각하니 감사하는 마음이 넘쳐나요.

지금은 꿈이 있어요.


오늘 하루를 사는 일이 당연하지 않음을 깨닫고 감사하는 마음이 생기면 사람들은 이 귀중한 시간을 어떻게 보낼지 고심하기 시작한다. 인생에서 정말로 중요한 게 뭔지 우선순위를 생각하고, 삶의 보람이 뭔지 깊이 고민하는 것이다. 이게 바로 '새로운 관점' 혹은 '새로운 가능성'이다.


인생을 종착점이 있는 여행이라고 생각하면, 죽음은 더 이상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다.

소중한 오늘을 보내는 일은 무엇을 해야 내 마음이 편안하고, 내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 알아내는 일이다. 자연스럽게 그동안 가둬둔 나의 want와 마주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너무 오래 must에 얽매여 살았기 때문에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want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봐도 좀처럼 들리지 않는다.

다른 사람의 평가에 얽매여봤자 행복해질 수 없으며,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따르며 살아가도 된다는 것, 소중한 사람과의 시간을 우선할 것, 지금 여기의 시간을 충분히 음미해 보자. 천천히 사소한 일부터 시작해도 괜찮다.


인생이 언제 끝날지 아무도 모른다.

그러니 살아있는 지금 이 순간을 무엇보다 소중히 여겼으면 좋겠다.


마음 가는 대로 무작정 부딪혀보기를 적극 권유한다.

목적과 시간의 제약을 두지 않고 내 가슴이 어떨 때 뛰는지 want의 목소리를 의식적으로 듣는 것이 중요하다. 죽음을 응시하는 일은 어떻게 살아갈지를 응시하는 일이다.

다가올 죽음을 위해 마음의 준비를 하고, 한정된 인생의 시간을 의식하면 자연스럽게 하루하루를 열심히 사는 것으로 이어진다.

#1년후내가이세상에없다면 #한빛비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