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는 왜 멈추는가? - 자본론으로 21세기 경제를 해설하다
한지원 지음 / 한빛비즈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계학을 전공하며 경제학과 재정학 수업을 모두 들었습니다.

물론 쉽지 않았지요. 시험 기간만 되면 개념 이해와 암기로 머리가 빠질듯했더랬지요. 그래서 자본론을 바탕으로 21세기 경제를 해설하는 책을 받아들고는 지레 겁부터 먹었지요. 이거 어렵겠는걸.... 맞아요! 쉽지 않습니다. 책을 읽는 동안 '검은 건 글자고, 하얀 건 종이다'를 수업이 되뇌었답니다.


자본주의 사회의 특징은 인간 노력을 상품 생산을 통해 분업으로 조직한다.


돈과 기술력을 보유하지 않은 개인은 자신의 시간과 노동력을 자본주에게 팔아 그 대가로 임금을 받습니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하며 인간의 노동은 하이테크 분야가 아니면 차츰 기계로 교체가 되는 현실입니다. 그렇기에 임금의 양극화가 벌어지며, 대다수의 인간은 저소득층의 나락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게 된답니다.

이런 약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노동조합을 만들었지만, 이들 역시 노동자보다는 힘 있는 기업 편으로 변질되어 갔습니다. 자본과 노동의 이런 비대칭적 소유권이 경제적 불평등의 근본적 원인입니다. 노동자는 자본가에게 고용되어야만 소득을 얻는 탓에 자본가의 목표인 이윤 추구에 기여해야 합니다.



이윤은 착취다.


착취 받기 위해 고용되어야 하고, 더 착취 받기 위해서 더 열심히 일해야 하는 것이 노동자의 운명이다. 자본과 노동의 불평등, 이것이 가장 근본적인 경제적 불평등이다. 이런 자본주의적 성장이 만드는 경제적 불평등의 최종 결과는 시민 다수를 비참하게 만든다. 결국 정부가 나서서 이런 불평등을 조율하고 조정해야 하는 심판의 역할을 떠맞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자본주의 시장에서 과연 국가가 이런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까? 과거부터 이어온 자본주의의 폐단을 과연 극복할 수 있을까?

마르크스의 자본론에서 자본주의의 한계로 본 공멸의 길을 묵묵히 걸어야만 하는 건지... 쉽지 않은 책이기에 한 번 더 읽어야 할 듯한데, 과연 다시 읽을 수 있을지 장담할 수는 없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