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기적 감정 - 나쁜 감정은 생존을 위한 합리적 선택이다
랜돌프 M. 네스 지음, 안진이 옮김, 최재천 감수 / 더퀘스트 / 2020년 8월
평점 :
"나쁜 감정은 생존을 위한 합리적 선택이다"
부제목부터 뭔가 심상치 않다. 진화론에서 인류는 다양한 생물을 거쳐 지금의 사람이 되었다고 말한다.
유전적으로 우성 인자들로만 조합된 현재의 인류에는 그간 거쳐간 동물들의 감정과 습관이 고스란히 DNA에 남아있다.
불안, 우울, 슬픔 같은 감정들은 나름대로 쓸모가 있기 때문에 자연선택 과정에서 살아남아 우리를 보호하고 있다.
하지만 질병은 진화론으론 설명할 길이 없다. 질병은 자연선택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감정이란 무엇인가?
감정 자체는 아주 자세하게 설명할 수 있지만 그 감정들이 필요한 이유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감정은 우리 자신이 아니라 우리의 유전자를 위해 생겨났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지 못하고 있다.
감정은 특정한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특별한 상태로 보아야 한다. 일례로 불안을 느낄 줄 아는 개체들은 눈앞의 위험한 상황을 피해 달아나고 앞으로도 그런 상황을 피해 다닐 확률이 높다.
불안을 진화적으로 이해하고 나면 정신과 치료에서도 색다른 변화가 생긴다. 공황발작 때 나타나는 증상들은 생명이 위협당하는 상황에서 달아나기 위해 필요한 것이지만, 이것은 마치 트스트가 탈 때 화재경보기가 울리는 것과 같은 잘못된 신호로 설명할 수 있다.
사회심리학을 창시한 쿠르트 레빈의 사회심리학 제1원칙
"B=f(P, E)" => 행동(Behavior)은 어떤 사람(Person)과 그 사람이 처한 환경(Environment)의 함수이다.
유전자와 성격 같은 개인의 특성은 고정되어 있지만 환경은 수시로 바뀐다. 정신장애를 온전히 설명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특성과 환경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정신과 의사가 진화론과 심리학을 겸하며, 인간의 감정을 분석한 책이다.
인간의 감정은 위험에서 벗어나려는 상황에서 기인한 것들이다.
이런 것들을 이해한다면 지금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정신질환에 대한 대체 요법들이 생겨날 것이다.
진화 이론과 인간의 감정에 대한 기본 지식이 없기에 500여 쪽에 달하는 책 내용이 조금은 어렵게 느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