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래희망은 이기적인 년 - 날카로운 직감과 영리한 태도로 험난한 세상에서 살아남는 법
캐런 킬거리프.조지아 허드스타크 지음, 오일문 옮김 / 놀 / 2020년 8월
평점 :
남자로 40대 중반까지 살아왔기에 여자가 살아가기에 이토록 힘든 세상인 줄 몰랐다. 그저 노출이 심한 옷을 피하고, 일찍 일찍 집에 들어오면 될 거라는 막연한 생각뿐이었다. 우리나라보다 범죄와 살인이 훨씬 많은 미국에서 여성이 살아가기란 역시 쉽지 않아 보인다.
서로 다른 삶을 살아오다 30대 중반 방송국에서 만난 두 여성은 범죄와 코미디를 소재로 팟캐스트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들은 범죄에 희생된 여성들이 왜 범죄에 노출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자들은 알게 모르게 예의를 지켜야 한다는 관념과 거절하면 나쁜 사람이라는 되지도 않는 거짓에 속고 있다. 그렇기에 망할 놈의 예의에 대해, 타인에게 무례해지는 것을 훨씬 더 겁내고 어려워한다.
예의 따위를 집어던지지 못하거나, 거부의 말을 입 밖으로 꺼내지 못해서 일어난 그 어떤 일도 당신 잘못이 아니다. 하지만 여자가 능력과 가치를 '더' 인정받으려면 '나쁜 년'이 되는 걸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이런 관념에서 벗어나 나에게 정말 필요하고, 나를 기쁘게 하는 게 뭔지 구체적으로 알아야 관습을 벗어날 수 있다. 우리는 '최고'가 되기 위해 비참해질 때까지 미친 듯이 자기 자신을 몰아붙인다. 하지만 우리 목표는 '진정한 자신'이 되는 것이다. 모든 여건이 완벽하게 준비되기를 기다리지 말고 그냥 무대로 나오자. 일단 무대로 나가면 최선을 다하는 게 낫다고 생각할 것이다.
역경은 두려움에 대항하는 힘을 길러주고, 나를 지켜주고, 나를 성장시킬 것이다. 얼마든지 실패해도 된다. 그동안의 노력들이 내 인생을 만들어간다. 당신이 하는 모든 노력과 시도를 당신이 쓰는 자서전의 한 챕터라고 생각해보자.
인생에 지름길은 없다. 살아가는 데 쉬운 길이란 결코 존재하지 않는다.
나를 책임질 사람이 다름 아닌 나 자신이란 걸 받아들이자.
두 여성의 짧은 삶도 파란만장하다. 도벽, 마약, 중독, 망상 등 평범하지는 않다. 하지만 이들의 삶을 누가 비판할 수 있을까?
나 자신을 책임지고, 자신의 목표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삶, 그게 인생이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