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암과 함께하는 삶
정도석 지음 / 바른북스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암에 걸렸다는 소식을 처음 접했을 땐 대부분 하늘이 무너지는 심정이라고 한다. 그리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어떤 요소로 인해 암에 걸렸는지 되돌아본다. 하지만 암은 최소 5년 전에 이미 내 몸속에 자리 잡기 시작했기에 최근의 생활과 습관을 분석하는 것으로는 암의 발병 원인을 찾을 수 없다.
암은 정상세포가 돌연변이가 되어 악성 세포로 남아 내 몸속에서 계속적으로 소멸되지 않고 증식하는 형태를 말한다. 또한 신생혈관을 스스로 만들어 내어 과도한 영양을 소모하고, 주변 정상조직으로 침습할 뿐만 아니라, 혈관이나 림프관을 통해 원격 전이하여 이차 전이암을 유발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정상세포를 파괴하여 자신의 영역을 확장한다. 처음 1억 개 이하일 경우에는 암세포가 발견이 잘 안된다. 1cm 크기의 암에는 10억 개의 암세포가 있다. 크기가 1cm 이상일 때 위치에 다라 진단할 수 있으며, 암세포 수가 1조 개가 넘을 때 상당히 진행된 상태이다. 암세포가 1g이 되기 위해서는 30번의 분열을 하여 3,000일이 걸리는데 이는 8년이라는 시간이 걸린다. 즉, 암은 소리 없이 서서히 자기들만의 영역을 조금씩 넓혀 가면서 우리 몸을 모두 자기의 영토로 잠식시킨다.
암의 치료법으로는 수술, 방사선치료, 약물치료(항암제 치료)가 있으며, 이를 화학적 요법이라 하며 표준화된 치료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수술요법은 1950년대에, 방사선요법은 1960년대에, 항암화학요법은 1970년대에 등장한 오래된 치료방법이다. 그간의 경험과 기술 개발로 암의 치료 기술을 발전되어 왔지만 이를 통해 암을 완전히 정복하지는 못한 상태이다. 또한 이 치료법에는 만만치 않은 부작용이 있기에 환자의 삶을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정통 의학의 한계로 인해 암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보완의학 또는 대체의학이 대두되고 있다. 이 또한 아직 걸음마 단계이기에 많은 경험을 갖은 통합의학과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올바른 접근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런 통합의학요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면역력을 강화해야 한다. 아주 작은 질병부터 시작하여 암에 이르기까지 면역이라는 방어막이 무너지면 병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져 결국엔 생명을 유지할 수 없어진다. 암세포의 잠복기는 10년에서 30년까지이다. 우선 식습관을 먼저 개선해보자. 또한 체온을 높일 수 있는 음식이나 운동, 온열 요법을 추천한다.
암을 포함하여 자신의 건강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치료의 효과를 좌우하게 된다. 암을 치료하는 데는 뚜렷한 정답은 없다. 암과 싸워 끝까지 이길 수 없다면, 암과 어떻게 하면 친구가 돼서 싸우지 않고 남은 생을 같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방법과 삶의 질을 높이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