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믹스처 - 우리는 누구인가에 대한 고대 DNA의 대답
데이비드 라이크 지음, 김명주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20년 3월
평점 :
절판
인간의 근원에 대한 질문, 인간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이 질문 속에서 철학이 태어났고, 종교가 태어났다.
수많은 사람들이 몇 천년을 넘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내놓았고, 아직도 많은 석학들이 자신의 생각을 주장한다. 그렇지만 이 질문에 대한 명쾌한 답은 존재하지 못하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유전학이라는 새로운 분석 기법이 도입되며 인류의 기원에 대한 색다른 주장이 책을 통해 펼쳐진다.
고대 뼈에서 DNA를 추출하며 이것들이 현대인들의 DNA와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며 인류의 집단 확산을 되짚어간다. 현대인의 대부분은 아프리카에서 확산한 사람들의 자손임을 말해준다. 고고학 기록상 약 5만 년 전을 기점으로 인류 집단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네안데르탈인은 약 40만 년 전 유럽에서 진화했으나, 골격형태가 현대인의 다양성 범위에 들지 않는 '구인류'로 간주된다. 또 이들은 현생인류가 등장하기 수천 년 내에 전멸하였다. 무엇이 이들을 전멸시켰을까?
유전자 분석을 진행하며 고대 뼈에서는 네안데르탈인의 DNA와 이들과는 다른 DNA가 각 대륙별로 발견되었다. 네안데르탈인으로 명명된 유럽의 고대인과 달리 각 대륙에도 역시 구인류가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식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구인류가 이동하며 서로 다른 종족 간에 섞이며 새로운 인류로 진화한 것이다.
이렇게 고대 뼈를 통한 DNA 추출을 통해 구인류까지 거슬러 올라가 인류의 기원을 탐색했다. 하지만 이 기법 역시 영장류에서 인간이 진화했다는 구체적인 증거까지는 내놓지 못한다.
고고학적으로 발견된 고대 뼈들의 DNA 추출이 고작이다.
진화 가설의 주장처럼 영장류가 인간이 되었다면 왜 아직도 원숭이는 그대로일까? 이처럼 복잡한 DNA나 게놈이 자연 발생적으로 만들어질 확률은 과연 얼마나 될까? 지구가 생성된 이래 수천 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새로운 종이 출현하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
과학적으론 추론이 불가한 내용들을 통해 신의 존재란 것이 있음직도 하다는 생각이 든다. 문과생들에겐 조금은 어렵고 지루한 책이지만 과학의 새로운 분야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재밌을 수도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