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원하는 것을 나도 모를 때 - 잃어버린 나를 찾는 인생의 문장들
전승환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인생은 연습 없이 무대에 올라가는 배우와 같다. 이런 비유는 또 어떨까? 한 번도 긁지 않은 즉석 복권 같은 것... 그런데 사람들은 남들과 똑같이 평범하게 살라고 합니다. 평범한 인간을 만들기 위한 12년이라는 표준화된 정규 교육과정. 이런 정형화된 교육을 통해 창의력과 상상력을 죽이고, 좁은 취업 전쟁을 통해 꿈을 말살해 버리지요. 내 꿈, 내 희망, 내 미래.... 이런 것들은 동화에나 나오는 것들이라 자위해보지만 "이건 좀 아니지 않나?"란 생각이 듭니다. 인생엔 정답이 없다지만 이렇게 살아선 안 될 것 같다는 불안감을 잊기 위해 어른들은 쓰디쓴 술로 밤을 지세우나 봅니다. 그럼 뭐가 정답일까요? 왜 우리는 정답이라곤 없는 인생에 정답을 찾으려 할까요?
행복하기 위해서는 지금 내 마음에 귀 기울여야 합니다.
다른 사람의 기준만 좇아서는 결코 행복해질 수 없으니까요.
사실 우리는 모두 삶이라는 여행을 하고 있죠.
그 여정이 즐거우려면 다른 사람이 아닌 우리가 좋아하는 일로 일정을 채워야 합니다. 이처럼 우리가 행복하기 위해서는 정말 원하는 게 뭔지, 마치 정신 나간 사람처럼 끊임없이 고민하고 찾아야 하는 것 같습니다.
어쩌면 그 작업은 평생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p. 29~31
우리가 꿈 꿀 때 정말 중요한 게 하나 있습니다.
바로 자기 꿈에 지레 겁먹지 않고 용감하게 도전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생각만큼 쉽지 않습니다. 다달이 들어오는 월급이 뚝 끊어지고, 납기일이 정해진 지출들은 다가오고. 이런 것들을 모두 감내하고 꿈을 향해 나가야 하기 때문이지요.
걱정하는 지인들의 눈초리와 뒤돌아 정신 나간 거 아니야? 하는 비아냥 속에도...
1~2년이 아닌 10년 아니 20년이라는 숙성의 시간을 견뎌야 할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지치지 않고 꾸준히 꿈을 꾸고 실천에 옮겨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 끝은 아무도 알 수 없지만 우리가 꿈꾸는 해피 엔딩이 아닌 절망일 수도 있습니다
남들은 실패라고 말할지 몰라도 꿈을 꾸고 쫓았던 우리는 행복했다고 말할 수 있겠죠?
행복은 그저 남을 따라 해서 얻을 수 있는 게 아니니까요.
책을 통해 깨달은 지혜와 명언을 나누며 지친 인생들에게 힘을 북돋아 주는 책입니다.
이런 글이 있기에 힘든 하루를 버텨낼 용기를 얻겠죠?
남들과 다른 내가 꿈꾸는 인생을 당당히 걸어가는 청춘들을 위해 박수를 보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