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에 간 멍청한 경제학자 - 행동경제학으로 바라본 비합리적 선택의 비밀
고석균 지음 / 책들의정원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편의점에 가면 1+1, 2+1 상품이 눈에 띈다. 이걸 안 사면 후회할 것 같은 압박감이 밀려온다.

인터넷 서핑을 하다 보면 100원 마케팅과 사전예약이 눈에 띈다. 100% 아이템 지급이라....

이렇게 고객들을 유혹하는 광고 문구에 어느새 나의 손은 클릭을 눌렀다.

기업들은 자선단체도 아닌데 이렇게 공짜 카드를 쓰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들이 제안하는 이벤트는 당신에게 혜택을 주는 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소비자의 일정한 시간, 일정한 공간에서 더 많이 소비하도록 유도하는 넛지 전략이라는 것을 기억하고 소비에 임해야 한다.

주류 경제학에서 인간은 철저히 합리성을 기반으로 행동과 소비를 한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행동경제학에서는 인간은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지 않으며 동정심이나 이타심, 호의 등으로 행동한다고 가정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의 행동을 유도하는 넛지 전략을 통해 소비자의 행동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마케팅이 시작되었다.

이런 넛지 전략이 우리 일상 곳곳에 숨어있다. 단지 소비자인 우리만 모르게 말이다.

경제학에서는 가치의 희소성에 따라 가격이 책정된다고 한다.

하지만 실물 경제에서는 시간의 희소성을 강조한다. 특정 시간에만 적용되는 할인과 제한 시간 동안 무한 리필 등 넛지 전략 등이 사용된다.

경제학에서는 사람은 합리적인 판단을 하는 존재라고 가정하지만, 실물 경제에서는 물건을 구매할 때 다른 사람의 사용 후기를 보고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듯 우리의 판단 기준은 때때로 놀랍고도 치밀하게 세워진 넛지에 의해 남겨진 후기 전략임을 알아야 한다.

기업들이 당신에게 큐레이팅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선택의 폭이 넓거나 선택의 기준이 없어 소비를 고민하는 고객에게 특정한 선택의 기준을 제시하여 그 선택의 기준대로 소비를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기업은 우리에게 무작정 혜택을 줄 만큼 착하지 않다는 점을 꼭 기억하자.

앞으로는 구매하기에 앞서 기업이 제공하는 혜택의 본질적인 정신이 어디에 있는지를 생각한다면, 소비가 조금 더 합리적으로 변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