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지 않는 연습 - 불필요한 열등감에서 벗어나는 삶
가토 다이조 지음, 장은주 옮김 / 더퀘스트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사람은 태어나며 다른 사람과 무의식적으로 비교하기 시작한다.
이런 비교가 없었다면 인류의 발전도 없었겠지만, 이 비교로 인해 인간은 자기를 파멸시켰다.
나보다 심지어 한 발이라도 앞선 사람이 있다면 시기와 질투의 대상이 되었고, 그들을 이기지 못한 패배의식이 자리 잡았다.
결국 이러한 불균형은 열등감으로 남아 끊임없이 자신과 타인을 비교하게 만들었다.

문제는 비교당했을 때의 심리적 토양이다.
실패와 굴욕이 이어져 있듯이 비교는 비난받는 토양과 이어져 있다.
열등감이 있는 사람은 지금 눈앞에 있는 사람과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과거에 자신에게 상처를 입힌 사람을 항상 생각하며 살아간다.
남보다 우월해지고 싶은 염원이 강하면 강할수록 열등감은 심해지는데, 이 근본적인 원인은  어릴 적 받지 못한 부모의 관심이다.
열등감이 심한 사람은 대부분 부모를 두려워한다. 그뿐 아니라 불화 가정에서 컸을 확률이 무척 높다.
이런 열등감이 심한 사람은 자기 비하가 심하다. 이런 유형들은 어리광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거라 생각하는 사람에게 빈정대거나 비꼬면서 자신에 대한 상대의 태도를 바꾸려 한다. 이것은 상대에게 불만을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인데 이를 '수동적 공격성'이라 한다.

열등감이 심한 사람은 항상 심리적으로 편한 쪽을 선택하기 때문에 늘 후회를 달고 산다.
그리고 불안을 회피하기 위해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고립을 선택하고, 상대에게 적의를 갖고 있으면서도 상대방이 자신을 비난하고 있다고 생트집을 잡는다. 이런 태도가 계속되면 주위에 아무도 남지 않게 된다. 열등감이 심한  사람은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을 왜곡하며 스스로 자신의 목을 죄어 간다. 흔히 '다른 사람의 말에 상처받았다'라는 말을 자주 쓰는 사람은 사실은 내게 상처를 준 주체는 상대가 아니라 나 자신이다. 내 열등감이 상대의 말에 반응했을 뿐이다.

이런 열등감을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진심으로 열등감을 극복하고 싶다면 무엇보다 마음이 통하는 사람을 찾아야 한다.
믿을 수 있는 사람이 자기 곁에 있음을 깨닫고 그 사람과의 교감과 신뢰를 통해 새로운 나를 만들어가도록 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