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게 (양장) - 기시미 이치로의 다시 살아갈 용기에 대하여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품절


내 나이도 어느덧 마흔을 넘겼다.
삼십대에는 사십대가 되면 뭔가는 다른 내가 되어 있을줄 알았는데, 바뀐거라고는 나이의 앞자리 숫자뿐이다. 아직도 내 안에는 철없는 이십 대의 나와 가장으로서의 부담감에 눌린 사십대의 내가 서로 공존하는 것 같다. 육십을 넘긴 저자는 과연 사십대를 살아가는 내게 어떤 조언을 해 줄까?

나이 50에 심근 경색으로 죽음의 문턱을 다녀오기 전까지 나이 듦은 성공을 위협하는 장애물일 뿐이었다. 이 질병은 일상을 완전히 뒤집어졌다. 병으로 인한 고통, 괴로움, 부자유스러움과 불편함이 이루 말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내일'이라는 날을 장담할 수 없다는 점이 괴로웠다. 하지만 "오늘도 눈을 떴다. 적어도 오늘이라는 날을 살 수 있다!" 그것은 병을 앓기 전에는 느껴본 적 없는 기쁨이었다. 병을 앓고 나서야 얻을 수 있는 것은 인생을 보는 눈과 일상의 작은 행복에 감사하는 마음이다.

인생은 아무도 가 보지 않은 길을 홀로 걸어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앞날에 대한 두려움이 항상 존재한다. 앞날을 염려한다는 것은 '지금, 여기'를 소홀히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인간은 과거에 사로잡혀 살지만 과거로 돌아갈 수 없다. 하지만 언제든 처음부터 '지금, 여기'에서 관계를 재구축할 수 있다. 내가 바꿀 수 있는 것은 '지금, 여기'라는 곳이다.
마흔의 어른으로써 자기가 선택한 길에 대한 후회보다는 자신의 선택을  믿어보자.
그리고 남들과 나를 비교하는 우를 범하지 말고, 남들의 시선과 평가는 잊기로 하자.

마흔을 넘기며 부모님과 지인들의 죽음을 목격할 것이다.
특히 가까운 친구의 죽음을 맞이하며 죽음과 질병에 대한 공포감이 조금씩 마음에 자리잡을 것이다. 노화와 질병이 마음을 동요시키는 이유는 그 너머에 죽음이 있기 때문이다.
죽음을 두려워하고 꺼림칙하게 여기고 도망치려고 발버둥치는 이유는 죽음이 어떤 건지 잘 모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죽음 이후의 삶이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그곳이 천국인지, 지옥일지는 아무도 모른다. 모르는 미래에 대한 불안과 공포보다는 내가 바꿀 수 있는 현실과 오늘에 더 집중해 보도록 하자.

인생 선배이자 상담가로써 책을 통해 조언을 해준다.
인생을 80까지라고 가정한다면 인생의 절반을 지나고 있는 지금, 두려움과 공포보다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해야겠다. 아직까지 가 보지 않은 길과 긁지 않은 복권이라는 선배들의 말을 믿으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