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문화사 5 - 대중매체 1960~2000 유럽 문화사 5
도널드 서순 지음, 오숙은 외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권은 유럽문화사 시리즈의 마지막으로 1960년~2000년까지를 다룬다.

이 시기는 본격적으로 대중매체를 기반으로 한 대중문화가 발달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본격적으로 텔레비전이 가정에 설치되기 시작하였으며, 워크맨의 등장은 음반시장의 팽창을 이끌었다. 특히 텔레비전은 언론, 영화, 라디오, 극장, 축음기가 주던 것을, 사람들이 집 안에서 힘 안들이고 직접 누릴 수 있게 해주었고, 이는 문화의 민주화를 완성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텔레비전이 만들어낸 시청자공동체는 본질적으로 국민공통체이기에 텔레비전은 초기에 국가의 통제하에 있었으나 점차 민영화되었다.

사실 2025년 현재의 상황에서 이 시리즈는 조금 아쉬운 감이 있다. 이 책에서는 거의 뒷부분에서 인터넷이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서술하긴 하였으나, 2007년 애플의 아이폰의 탄생이라는 사건이 그다지 언급되지 않았다. 하지만 스마트폰은 문화 전반에 대한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고, 콘텐츠를 구독료를 내고 스트리밍으로 소비한다는 새로운 문화와 문화 시장의 새로운 수요 창출, 그리고 국제적으로 확대되는 시장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즉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진 소비패턴이 등장하는데, 이 책에서는 이 부분까지는 다루지 못했다.

하지만 이 시리즈를 통해 현대의 대중문화의 시작점이 어디인지, 그리고 어떻게 문화가 상품화되고 소비되었는지 그 역사를 살펴본 것은 더할 수 없이 귀한 독서 경험이었다. 꼼꼼하고도 짜임새있게 잘 쓰여진 역사서이고, 문화라는 것이 인간에게 가지는 가치가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럽 문화사 4 - 국가 1920~1960 유럽 문화사 4
도널드 서순 지음, 오숙은 외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권은 1920년부터 1960년까지의 시기를 다룹니다.

이 시기에는 파시즘의 등장과 세계대전이 있었지요. 즉 국가주의의 시대입니다. 모든 곳에서 국가 개입이 늘면서 문화시장에도 국가가 개입하는 시기이지요.

원래 국가는 늘 문화에 관여해왔습니다. 하지만 20세기에는 국가가 결국 중심적인 자리를 차지합니다. 그러면서 과거의 귀족후원자들이 떠난 빈 자리를 정치가 채우기 시작했지요. 하지만 문화는 결국에는 재미와 교육을 제공해야 하기에 국가 주도의 문화정책은 대중들에게 외면받게 되지요.

이 시기에는 드디어 미국이 문화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미국은 유럽에 비해 사회학적으로나 경제학적으로 유럽에 앞섰고, 중간계급의 힘이 막강하였기에 미국 문화는 '대중적'성격을 띄게 됩니다. 엘리트문화와 민중 문화의 구분이 점차 희미해지고, 문화 영역에서 돈이 막강한 역할을 하게 되지요. 또한 라디오, 레코드, 유성영화의 발달은 대중음악 시장을 탄생시켰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리기 인류 - 인류학의 퓰리처상 ‘마거릿 미드상’ 수상작
마이클 크롤리 지음, 정아영 옮김 / 서해문집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이 다른 동물보다 압도적인 신체적 능력은 달리기에 있다고 하지요. 이러한 달리기에 대해 인류학적인 시선으로 바라본다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