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럽 문화사 3 - 혁명 1860~1920 유럽 문화사 3
도널드 서순 지음, 오숙은 외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이번 책은 1880년~1920년사이를 다룬다.

이 시기에는 통신혁명이 일어나 국민국가가 강화되고 미국이 문화영역에서 점차 패권을 장악하게 된다.

또한 민중들의 소득이 늘고 여가시간도 증가하면서 중간계급이 팽창하였고, 그에 따라 문화상품 소비자가 늘어남에 따라 문화 생산자도 늘어났다. 그리고 덕분에 어느 소설들은 이제야 고상한 장르로 여겨지게 된다.

문화시장의 양적 팽창은 이제까지 배제돼온 소수민족들에게도 기회를 주게 되었고, 덕분에 유럽의 유대인들이 문화 시장에서 크게 성공하지만, 이는 반유대주의가 퍼지게 되는 이유가 되었다.

이 시기의 가장 특별한 현상은 수많은 기술혁신으로, 이로 인해 책값이 드라마틱하게 하락하였으며, 덕분에 독서 시장은 엄청나게 팽창하였다. 그리하여 국제적인 베스트셀러가 등장하게 되고, 유럽 전역에서 모방과 상호교배과정이 진행되면서 유럽 문화는 한층 균질화된다. 그리고 에밀 졸라로 대표되는 공적 지식인의 존재도 탄생한다.

또한 글자를 읽을 수 있는 중간계급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언론이 발달하였고, 이 언론은 정치권력과 결탁한다. 이 시기에 문화적 민주화와 정치적 민주화가 같이 진행되었기에 언론과 정치권력의 결탁은 언론을 하나의 권력으로 만들었다.

또한 이 시기에 드디어 녹음이 가능하게 되고 영화와 합쳐져 문화의 중대한 혁명을 일으킨다. 영화는 대중선거, 대중주의 독재, 대량소비의 세기인 20세기에 어울리는 새로운 '민주적'매체로, 결국 유럽 문화사 3권에서 다루는 시기는 대중적인 여가와 오락의 성장과 맞물려 문화적 민주화가 진행된 시기라 특징지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럽 문화사 2 - 부르주아 문화 1830~1860 유럽 문화사 2
도널드 서순 지음, 오숙은 외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권은 1830년~1880년의 부르주아 문화를 다룬다.

1권 서막에 이어 2권에서는 현대 대중문화의 기틀이 형성된다. 이 시기에는 대중들이 좋아하는 스토리와 소위 '고상한' 취향이 대결하며, 검열관들이 대중문화를 검열하지만 검열 기준은 매우 모호하다. 지배층은 대중을 어린아이 취급하지만 결국 문화적 지위를 결정하는 것은 작가의 질이라기보다는 그 문화를 향유하는 자들의 사회적 지위임이 드러나게 된다.

또한 부르주아 문화가 형성되면서 자기계발서 류의 도서시장이 강화되며 민족의 정체성이 점차 확립되는 것에 따라 역사소설이 대유행을 하게 된다. 그리고 교육혁명으로 인해 출판산업이 활발하지고 언론이 활발하게 사회적으로 역할을 하게 되면서 '유명인사'가 등장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