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킴 (무선)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2
조지프 러디어드 키플링 지음, 하창수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러디어드 키플링은 '정글북'으로 유명한 소설가이지만, 그의 대표작은 이 소설 '킴'이다. 러디어드 키플링은 이 소설로 만42세에 역대최연소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된다.(그리고 이 기록은 아직도 깨어지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즉, 19세기~20세기초에만 해도 러디어드 키플링의 문학세계는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 이 시점에서, 물론 나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하듯, 내가 이 소설을 읽고 느낀 점은 강한 오리엔탈리즘이었다.
일단 이 소설은 '킴'이라는 백인고아소설의 모험담에 가깝다.
'킴'은 어쩌다보니 영국식민지인 인도에서 고아가 되어 홀로 살고 있는 백인 소년이다. 그는 영악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영리하며 재빠르게 행동한다. 심지어 이재에 밝기까지 하다. 그는 우연히 홀로 순례하고 있는 라마승을 돕게 되고 그 라마승을 스승삼아 같이 여행하게 되지만, 그 사이에 인도 내부의 복잡한 정치 사정에 스파이로서 활동하게도 된다.
일단 내가 느낀 점은 러다이드 키플링이 불교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다는 점이다. 티베트 고승의 지혜는 피상적이고, 그는 너무나 어수룩하여 이 혼란스러운 인도에서는 킴의 안내가 반드시 필요하다. 분명 티베트 고승의 지혜는 삶과 밀착되어 있을 것일진데, 저자는 마냥 신비롭게만 그린다. 즉 라마 고승을 너무나 순진하게 그림으로써 킴이 없으면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존재가 되어버렸다. 이것은 결국 백인들이 동양인의 은인이 된다는 것을 말한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소설의 스토리 측면에서 소년의 모험과 성장담을 흥미진진하게 쓴 것은 알겠다. '정글북'도 그렇고 러디어드 키플링은 소년의 성장서사를 매혹적으로 그려내는 훌륭한 소설가이지만, 그래도 나는 그의 강한 오리엔탈리즘은 곱게 넘어가지질 않는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