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본성에 대하여 - 개정판 사이언스 클래식 20
에드워드 윌슨 지음, 이한음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 느낌상 저는 이 책을 일종의 기본서로서 읽었습니다. 어떤 뜻이냐면 이미 그 이론이 거의 정착이 되어 사람들이 그 책의 내용을 읽지 않더라도 그 책이 말하는 바를 아는, 예를 들어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같은, 그런 느낌으로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즉 학문의 성립에 있어 그 개념의 초석을 놓는, 그런 책 같다고나 할까요?

이 책에서 다룬 내용들은 제게는 그리 새롭거나 하지는 않았습니다. 한국에서는 이미 최재천 교수님이 '통섭'이라는 책을 통해 그 개념을 설명하셨고 또한 이 책으로 인해 성립된 사회생물학에 기반한 여러 과학책들을 제가 이미 읽어왔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최재천 교수님이 이 책에 대해 설명하였듯이 이 책은 과학적 바탕 위에서 인간의 문화를 바라보는 것입니다. 생명체로서의 인간이라는 존재가 만들어낸 사회와 문화를, 다시 생물체로서의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연구하는 것이 이 책의 주제입니다. 그리고 이 '인간 본성에 대하여' 이후 많은 학자들의 연구성과들이 출판되었고 또 그 중 많은 책들이 대중들에게 읽혔지요.

사회생물학에 대해 전혀 모르는 분들에게라면 신선했을 수 있으나 이미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라던가 매트 리들리의 '붉은 여왕'등 이미 사회생물학을 더 발전시킨 책을 읽으신 분들이라면 다시 기초적 개념으로 돌아가 기본을 다시 체크하는 기분으로 읽을 듯 하네요.

우리가 굳이 '국부론'을 읽지 않아도 그 이론을 알고 있듯,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국부론'을 찾아 경제학의 기초 개념을 다시 확인하듯, 그렇게 접근하는게 맞는 책인 듯 싶습니다. 즉 '국부론'을 굳이 읽고 싶어하는 독서 취향을 가진 분들이라면 읽어보실 만한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