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콜레스테롤 수치에 속지 마라 (2015 세종도서 교양부문) - 의사가 말하지 않는 콜레스테롤의 숨겨진 진실
스티븐 시나트라, 조니 보든 지음, 제효영 옮김 / 예문사 / 201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남편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는 얘기를 하던 중 우연히 꼽혀진 책 제목이 눈이 가서 빌려왔다.
이 책이 주는 키포인트는
심장병과 콜레스테롤은 무관하다이다.
기본
상식으로 우리는 콜레스테롤이 높으면 건강이 안 좋고 그렇기 때문에 계란 노른자, 새우, 오징어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과 콜레스테롤 수치는 전혀 상관이 없다는 것이다.
혈관 질환의 주범이라고 생각했던 포화지방이
사실은 심혈관계 질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실제 진범은 바로 탄수화물, 그중에서도 과당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주로 어머니 세대는
밥힘으로 일한다고 하시며 흰쌀밥, 떡 등을 좋아하시는데 이게 정말 안 좋은 식습관이다. 바른 먹을거리와 올바른 생활습관이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실천하자! 밥 양을 줄이고 당 섭취를 줄이자.
심장질환을 일으키는 진짜 위험한 요인은 염증, 산화, 당분, 스트레스라고
한다.
콜레스테롤을 낮추려고 필요 없는 약(스타틴)을 먹지 말라고 말한다.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것이 실제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다소 안도의 숨을 내쉬었다. 고단백질, 고지방 식사를 해도 콜레스테롤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으며 오히려 체중 감량이나 심장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 저지방 식단보단 고지방 저탄수화물이 몸에 더 좋다. 심장 질환을 앓는 사람의 절반은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이니
상관관계가 없다고 봐도 될 듯싶다.
심장질환의 진짜 원인은 염증이다. 만선 염증은 고혈압처럼 뚜렷하게 나타나는 증상이 없지만
알츠하이머병, 당뇨병, 비만, 관절염, 암, 퇴행성 신경질환, 만성 기도질환, 독감, 폐렴, 만성 폐질환, 만성 신장질환을 비롯해 거의 대부분의
퇴행성 질환과 심장질환에도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 pg87 염증은 산화작용 때문에 생긴다고 한다. 내부에서 녹이 스는 현상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콜레스테롤은 인체가 비타민 D 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테스토스테론 등 성호르몬, 그리고 소화에 필요한 담즙산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원재료이다. 콜레스테롤 수치를 최대한 낮추어야 한다고 강조하는 주장은 잘못된 생각일 뿐만 아니라 자칫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Pg92
콜레스테롤 수치가 160mg/dL 미만으로 낮아지면 우울증, 공격성, 뇌출혈, 성욕 감퇴가 일어날 수 있다고 하니 우리 몸에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전혀 상관이 없지는 않다.
콜레스테롤 수치를 걱정하기 전에 오히려 당 섭취에 눈여겨봐야 할 것이다. 당뇨병, 비만과
심장질환 사이에 숨겨진 연결고리는 바로 당이다. 당은 쉽게 설탕을 생각할 수 있는데, 탄수화물 섭취를 과하게 하면 이 또한 당으로 전환될 수
있다.
식생활의 악마로 누명을 쓴 포화지방에 대해 살펴보면 육류, 치즈, 버터, 달걀 등 동물성 식품에 주로 존재하지만 야자유,
팜유 등 특정한 식물성 식품에도 존재한다.
포화지방 섭취량과 심혈관계질환 발생 위험의 예측 가능성은 아무런 관련성이 없다. 심지어 포화지방은 '좋은' 콜레스테롤(HDL)을
증가시킨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섭취하는 밥. 백미. 줄여야겠다는 생각을 계속하며 읽었다. 해로운 탄수화물 카테고리에 들어간 음식은 다 내가
좋아하는 것이다. 우리 아이에게도 덜 섭취하도록 식단을 짜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음식을 할 때 항상 카놀라유를 사용하는데 이 책을
통해서 그냥 버려야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카놀라유가 몸에 좋은 식용유라는 명성은 마케팅의 승리라고 저자는 말한다. 카놀라유는 나쁜
기름이다.
저자는 각 Chapter마다 "이것만은 꼭 알아두자!"로 정리를 해주어 한눈에 키포인트를 볼 수 있어 좋다. 스트레스는 만병의 원인임이
맞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서도 볼 수 있다.
가급적 많이 섭취하면 좋은 음식을 우리 가족 건강지킴이로써 제공해야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카놀라유를 버리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를 꼭 사 먹어야겠다.
그리고 아이들이 밥을 남기더라도 메인 음식을 잘
먹었다면 민감하게 반응하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