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품의 배신 - 우리는 왜 청결해야 하는가
제임스 햄블린 지음, 이현숙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22년 10월
평점 :
의사인 저자는 5년째 거품 샤워를 하지 않는다. 비누로 손을 씻는 것외에는 다른 세정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불편하지는 않는지 사회생활하는데 문제는 없는지 궁금하다. 몸에 있는 기름기를 제거하고 다시 채워넣고 하는 과정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로 고민해봤기에 어디까지 청결해야하는지 저자의 의견이 궁금했다.
인간의 몸은 자정능력이 있어서 세균의 공격을 받으면 대항하고 스스로 치유한다. 피부미생물인 마이크로바이옴이 있어 외부의 세균으로부터 보호하고 면역체계가 발달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를 죽이는 항생제의 지나친 사용이나 지나친 청결은 오히려 알러지나 천식같은 병을 일으킨다. 어릴 때 개를 키우거나 흙과 같은 자연에 많이 접하면 다양한 미생물에 노출되고 면역이 되어 더 건강할 수 있다. 샤워를 한다면 겨드랑이, 사타구니, 발만 씻어도 된다. 꼼꼼하게 닦을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청결을 위한 제품이 넘쳐나는 것은 기업의 마케팅때문이다.
미국의 FDA는 의약품을 제외한 화장품에 대해서는 선규제가 없고 추후 시장에서 문제가 되었을 때 검사하고 업체가 자발적으로 제품을 회수하도록 유도한다. 이에 따라 아주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었다 사라진다. 문제가 있는 제품이 소비자의 건의가 없는 한 제제를 받지 않는다는 사실이 놀랍다. 항균비누에 포함되어 있는 트리클로산이 암을 유발한다는 결과가 나왔는데 다양한 제품에 포함되어 있던 제품들이 시장에서 사라지는데에 오랜 시간이 걸렸다. 또한 현재 밝혀진 바로는 방부제 파라벤은 누적되어 내분비계교란으로 유방암과 생식독성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하는데 아직도 규제대상이 아니다.
피부에 흡수도 되지 않는 고가의 화장품을 사용하기보다 자외선차단제를 바르고 비타민 A와 C를 챙기는 것이 피부탄력에 좋을 수 있다는 사실, 아니 오히려 화장품과 비누를 사용하지 않고 세수도 잘 하지 않는 것이 예민하거나 여드름 피부에 더 좋을 수도 있다. 피부보다 음식, 수면, 스트레스와 같은 기본적인 것을 체크해봐야한다.
흥미로운 정보를 많이 제공하는 것도 이 책을 읽는 즐거움이다. 거품은 위생을 의미하는데, 위생에 관한 역사가 흥미롭다. 중세는 '목욕없는 천년'이어서 페스트가 창궐했었고, 19세기 후반까지도 잿물을 사용한 비누는 세탁에만 사용했다. 20세기에 점차 피부에 사용할 수 있도록 순하게 바뀌며 마케팅을 통해 판매에 열을 올린다. 이름만 들으면 알 수 있는 기업들이 다양한 비누명을 가지고 등장하고, 주부들을 상대로한 라디오쇼를 제작했고 soap opera(드라마)의 어원이 생겨났다. 대기업의 마케팅과 최근 인디브랜드의 장사를 위한 안간힘에 소비자가 얼마나 힘없이 설득되는지의 역사를 알려준다.
냄새에 관한 사실도 흥미롭다. 개가 냄새로 병을 알아낸다는 것에 착안해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말라리아가 감염자의 호흡에서 나오는 테르펜을 이용해 모기를 유인한다는데, 모기퇴치제를 몸에 바를 것이 아니라 호흡에서 나오는 냄새를 변화시켜야하고, 이러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발냄새는 특정세균에게 먹이를 주고 감염의 위험성을 줄이도록 진화하는 과정에서 생겨났다고 하는 사실도 흥미롭다.
피부를 위해 덜 씻고 덜 바르는 미니멀리스트 운동이 필요하겠다. 세상에는 물부족으로 병에 걸려 죽는 아동이 있는 반면, 지나치게 청결을 강조해 너무 많은 청결제를 사용하다 병이 드는 사람들이 있다. 자연 속에서 좀더 시간을 보내고 덜 씻는 것이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비결이겠다.
위생에 관한 전반적인 사실을 알 수 있는 재미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