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셜록 홈스의 과학수사 - 홈스의 시선이 머무는 현장에는 과학이 따라온다
스튜어트 로스 지음, 박지웅 옮김 / 다온북스 / 2025년 3월
평점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셜록 홈스는 과학의 시대에 나타난 최고의 영웅이다(10)."
셜록 홈스(1854-1957)는 소설 속에서 무려 103세를 살면서 탐정으로 활동한다. 저자 코난 도일(1859-1930)이 71세를 살며 활동한 시대보다 길다. 사실 코난 도일은 역사소설처럼 진지한 소설을 쓰고 싶어서 <마지막 사건>(1894)에서 홈스를 죽인다. 그러나, 독자들의 열화와 같은 요청에 <바스커빌가의 개>(1902)에서 홈스를 살려내고 1927년 <셜록 홈스의 사건집>으로 마무리할 때까지 이야기는 계속 된다.
이 책은 셜록 홈스의 수사기법과 기술의 발전을 시대적으로 설명한다. 셜록 홈스 시리즈는 빅토리아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데, 이 시기는 빅토리아 여왕이 제위(1837-1901)하던 64년간으로, 변혁의 시대이자 합리주의와 과학의 발달과 식민지 개척으로 영국이 팽창하던 시대이다.
책은 10장으로 되어있다. 과학의 시대, 최초의 과학 탐정, 법과학, 지문과 광학, 통신수단, 이동수단, 무기, 동물, 의학 건강 독, 이론과학이다.
코난 도일이 의학을 공부했기 때문에 그의 페르소나인 홈스와 왓슨은 의학과 법과학적 지식으로 사건을 해결해 나간다. 코난 도일은 실존 인물의 특징을 빌려 홈스를 구성한다. 도일의 교수인 '요셉 벨 박사'의 관찰을 통한 추리 능력과, 현대 범죄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프랑수아 비독'의 수사방식을 사용한다. 상대를 척 보기만 해도 성격과 직업을 맞출 수 있고, 변장을 통한 잠입수사와 현장 증거품을 통한 과학수사로 경찰이 풀지 못하는 사건을 시원하게 해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홈스는 일반인이 보기에 병적이다. 정신병적으로 조울증과 자폐증이 동시에 있는 상태라고 진단하는데 흥미롭다. 홈스는 자신이 흥미를 갖는 일이라면 누구도 막을 수가 없고, 어떤 때는 며칠을 소파에 누워 아무것도 하지 않는 상태인데 이는 조울증이다. 자폐는 친구가 거의 없이 혼자 활동하고, 반복적인 행동양식을 보인다.
홈스가 활약하던 빅토리아 시대는 합리주의에 기반한 과학이 발달하고 있어서 과학적 범죄해결은 실재 범죄해결에도 영향을 미쳤다. 홈스는 지문, 족적, 자전거 바퀴, 말발굽 자국, 필적을 보고 그 차이를 알아내고, 돋보기, 현미경, 망원경, 사진기를 이용해 현장의 증거를 분석하고, 전보, 전화처럼 시대가 발전하며 새로 만들어지는 것들을 잘 이용한다. 홈스 본연의 날카로운 관찰과, 연역, 귀납, 귀추와 같은 논리적 사고와, 직관적인 해결능력은 감탄스럽다. 현대의 경찰과 CIA, FBI의 수사기법에 영향을 주었고, 셜록 홈스 시리즈는 CSI 교육생 추천 도서라니 그 의의가 대단하다.
소설이므로 과장되었을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지적도 재미있다. 마약과 줄담배를 하고 운동은 전혀 하지 않는 홈스가 사냥개를 따라잡는 것이라든가, 수명을 늘리기 위해 원숭이 혈청을 맞은 돌팔이 박사가 원숭이처럼 행동하는 것은 비과학적이다. 원숭이 혈청을 맞으면 살 수 없고, 설사 맞고 살았더라도 원숭이처럼 행동하지 않는다. 소설의 재미를 위한 비과학적 이야기가 과감하게 들어가 있다. 도일이 나이가 들어 과학 발전에 따라가지 못해 과학이 차지하는 비중을 줄이기도 했고, 의사과학을 진짜라 주장하기도 하였다.
코난 도일은 4편의 장편과 56편의 단편소설을 발표하며, 관찰력과 법과학적 지식을 갖춘 홈스의 활약을 다양하게 만들어냈다. 셜록 홈스 시리즈가 책은 물론 영화와 드라마로 재생산되고 있는 지금도 그 생명력에 감탄스럽다.
글 중간중간에 용어나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사항설명을 박스에 넣었는데, 글의 흐름을 끊어놓는 느낌이다. 주석으로 아래에 처리하면 더 좋았겠다. 셜록 홈스 시리즈를 읽었다고 가정하고 설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시리즈를 읽지 않았다면 그 내용이 궁금해질 것이다. 짧게라도 언급된 작품의 줄거리를 요약해주었다면 좋았겠다.